산불 인명 피해가 고령층에게 집중된 것은 장애 등으로 거동이 불편해 스스로 몸을 피하기 어려운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산간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층 주민들에게는 재난 문자 기반의 경보 체계가 사각지대인 점도 문제다. 고령층은 재난 문자를 잘 확인하지 못하거나, 확인을 해도 거동이 불편하면 대피하기가 쉽지 않다. 재난 문자에 의존하는 산불 경보 시스템이 대형 재난 발생 시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대형 산불이 덮친 급박한 상황에서도 진화대원들과 외국인 근로자의 헌신으로 거동이 불편한 고령층 수십 명을 구조했다고 한다. 근본적으로는 청년층이 떠난 농촌을 지키는 고령층 등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고령층이 재난 정보를 정확히 전달받을 수 있고, 자력으로 몸을 피하기 어려울 경우 대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력 등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후변화로 대형 산불과 기습 폭우 등 인명을 위협하는 재난은 잦아질 가능성이 크다. 재난으로부터 인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산불 등 재난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고, 헬기 등 장비와 인력을 보강해 피해를 줄여야 한다. 고령층 등 재난 취약 계층의 안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은 시급하다. 대형 산불 발생으로 재난 방지책 마련에 고심 중인 정부는 물론 대전·충남 등 지자체들이 유념해야 할 사안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