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북도는 1일 청주국제공항의 발전을 위해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0)'에 반영할 사업 제안서를 한국교통연구원에 제출했다.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공항시설법 3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공항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맡고 있다.
도는 교통연구원에 청주공항과 관련해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 '공항시설 확충 사업', '권역(위계) 변경' 등 3가지 사업을 제안했다.
이에 도는 증가하는 이용객을 수용하고 장래의 항공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청주공항은 민군 복합공항(청주기지)으로 민간항공기가 시간당 이착륙할 수 있는 슬롯이 7~8회로 제한돼 인천공항 75회, 김포공항 41회, 김해공항 18~26회, 제주공항 35회 등에 비해 현저히 적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 청주공항 이용객은 연평균 12.1%씩 증가해 왔으며, 2024년에는 약 458만 명이 이용해 전년 대비 24%가 증가하는 등 이용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청주공항 공항시설 확충 사업'은 2040년 대비 공항 시설용량을 확대해 시설 혼잡도를 완화하고, 이용객 편의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으로 국제선 여객터미널 확장, 국내선 여객터미널 확장, 제2 주차빌딩 신축, 주기장 확충을 계획하고 있다.
'청주공항 권역(위계) 변경'은 충청권·경기권을 아우르는 중부권 거점공항으로서 공항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현재 인천·김포·청주가 같은 중부권역에 포함돼 수도권(인천·김포) 공항에 정부의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집중된 상황이다. 권역이 변경되면 수도권 대체공항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할 수 있다.
사업제안서를 받은 한국교통연구원은 11월 말까지 과업을 수행하고, 국토부는 이를 바탕으로 12월 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고시할 계획이다.
김영환 지사는 "이번 제안 사업은 민군 복합공항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공항 활성화를 통한 지역 발전과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라며 "앞으로 청주국제공항 민·관·정 공동위원회를 중심으로 100만명 서명운동, 대정부 건의 및 결의대회, 토론회 등으로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제안 사업이 반영되도록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충북도는 지난 2월 송재봉 국회의원 등 29명이 공동발의 한 '청주공항 특별법'의 연내 제정 추진도 병행하고 있다.
청주=정태희 기자 chance091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