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일 군에 따르면 군은 단일한 인력공급 모델에서 벗어나 외국인 계절근로자 지원, 농촌인력중개센터 운영, 소농업인 농작업 대행, 농작업 대행 서비스, 농기계임대사업소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특히 2023년 새롭게 도입된'소농업인 농작업 대행 지원'사업이 농가들의 호응이 크다.
경영체 등록 농지 1ha 미만의 소규모 농가가 농기계 보유 농가에게 작업을 맡길 경우 작업 종류나 논밭 구분 없이 ㎡당 100원의 보조금이 지급되며 연간 최대 60만 원까지 지원된다.
고가 농기계 구입이 어려운 소농의 부담을 줄이는 동시 대형 농기계 운용 농가에는 장비 가동률과 부가 수입 증대의 이점이 제공된다.
군은 2023년 1735 농가에 6억9200만 원, 2024년에는 1923 농가에 8억3400만 원을 지원했고 올해는 1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군은 농번기 단기간 집중되는 인력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공공형 농촌인력중개센터'도 운영 중이다.
2023년 30명, 2024년 40명 수준이던 공공형 외국인 계절근로자 수는 올해 50명까지 확대됐다.
이들은 1일 입국해 대제산업단지 내 기숙사에 상주하며 농가 수요에 따라 배치돼 농작업에 투입된다.
군은 기계화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농기계임대사업소도 확대하고 있다.
현재 읍·면별 9개소의 임대사업소를 운영 중인 가운데 올해 청안 부흥, 문광, 칠성 등 3개소를 추가 준공한다.
여기에 농기계 임대료 50% 감면 정책을 추진해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높일 방침이다.
충북형 도시농부사업을 통한'시간 선택 근로'모델도 농업 인력 구조 다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2024년 1만3462명이 이 사업에 참여한 가운데 군은 올해 전년보다 두배 가까이 확대해 2만6000명의 인력을 농가에 배치할 계획이다.
송인헌 군수는"농업과 농촌은 지역의 미래 경쟁력이자 핵심 자원"이라며"선택과 집중을 통한 맞춤형 정책을 중심으로 농업 중심 군정 철학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괴산군은 2025년 본예산 중 농업 분야 예산 비중을 27.19%로 책정해 도내 11개 시·군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농업경영체 기준 1인당 예산 수혜액은 1441만7000원으로 도내 최고 수준이다. 괴산=박용훈 기자 jd36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