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시립극단 공연,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 연합뉴스) |
과거 설립 근거를 담은 조례 개정 단계에서 수차례 불발된 후 무산됐지만, 최근 이장우 대전시장이 재추진을 주문하면서 다시 동력을 얻게 될지 주목된다.
다만, 당시 창단 실패의 큰 요인이던 연극계의 이견차를 현 시점에선 어떻게 풀어나갈지 방안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과거와 같은 결과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31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최근 대전시는 시립극단 창단을 위한 검토 과정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 2월 이장우 대전시장이 대전문화재단 이사회에서 "시립극단 추진을 검토하라"고 지시하자 창단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 된 것이다.
대전시립극단 창단은 민선 7기 공약 사업으로 2020년 창단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이후 대전시는 대전연극협회는 물론 예술 전문가들을 초청한 토론회 등 3년간 공청회를 열어 담론을 형성했다. 이후 대전시는 타 광역시 극단과 비슷한 규모로 10억 원의 예산을 편성, 창단 근거와 운영 체제 등을 담은 '대전시립예술단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모든 움직임은 여기서 멈췄다.
지난 2021년 9월 대전시는 개정안 상정을 통해 2022년 창단할 계획이었으나 대전시의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정례회에 해당 개정안이 안건으로 올라왔으나 의회는 대전시립예술단 활성방안 연구용역이 진행되기도 전에 상정됐다는 이유로 보류한 것이다.
곧바로 열린 제2차 정례회에서도 운영방향과 인력 구성 등 세부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다며 무산됐다.
결국, 대전시는 뒤늦게 용역에 들어갔으나 민선8기로 이양되면서 극단 설립이 사실상 무산된 상태다.
그러다 최근 다시 극단 창단 가능성에 불씨가 붙으면서 지역 연극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전시는 장단점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창단의 필요성을 고심하고 있는 상태다.
현재 대전 연극 인프라 부족으로 지역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이탈하고 있어 극단 설립이 이를 해결하는 데 어느 정도 작용할 수 있다. 특히, 고용 불안정을 겪는 연극인들이 많은 상황에 안정적인 고용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반면 단점도 크다. 소수의 연극인만의 혜택을 받는 행태가 지속될 수 있고, 소규모 극단의 피해가 클 수 있다는 것.
대전시 관계자는 "과거 시립극단 창단을 두고 찬반 의견이 극명했고, 지금도 다르지 않을 것이라 본다"라며 "창단 후 발생할 문제점이 있기에 검토 단계를 꼼꼼하게 거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