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31일 정례브리핑에서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복귀했다고는 볼 수 없다"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부가 3월 말까지 의대생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이미 밝힌 것에 비해 다소 조심스런 입장이다. 이 같은 입장은 등록을 연장한 일부 의대 상황과 전체 의대생 수업 참여율을 보고 의대 모집 정원을 정하겠다는 생각이다.
결국 의대 교육 정상화의 관건은 복귀한 학생들의 수업 참여 여부가 됐다. 교육부는 의대생들이 등록 후 휴학 등의 방법으로 반발 기조를 이어나갈 수 있는 상황에서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 발표를 서두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의 전제인 '전원 복귀'에 대한 판단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교육부는 이와 관련 "각 대학이 판단하되 수업이 가능한 상식적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의대생들이 복귀하고 있지만 의대 교육 정상화가 이뤄질지는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제적을 피하기 위해 복귀한 후 재휴학이나 수업 거부에 나설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의료계 미래를 책임질 의대생들이 의료 사태의 방패막이가 돼 '희생'되는 건 불행한 일이다. 복귀한 의대생들은 수업에 정진하고, 정부와 의사협회를 포함한 의료계는 1년 넘게 환자에게 고통과 불안감을 안겨 준 의정 갈등에 종지부를 찍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