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질복원센터A 조감도. 사진=행복청 제공. |
행복청(청장 김형렬)은 2025년 3월 31일 이 같은 건립안을 담은 계획을 공개했다.
수질복원센터부터 살펴보면, 가람동 수질복원센터A(공공하수처리시설)는 물 재이용시설 설계 완료와 함께 본격적인 공사 단계에 올랐다. 1일 1.7만톤 하수 정화 설비로 총 212억 원 규모로 2027년 3월 준공될 예정이다. 여기서 정화된 물은 백동천과 내삼천의 하천 유지용수로 공급되며, 조경용수와 도로 청소용수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앞서 대평동 수질복원센터B가 재이용시설(0.65만 톤)로 먼저 운영 중이고, 합강동 수질복원센터D(0.35만톤)는 2025년 말 2번째 시설로 본 모습을 드러낸다.
수질복원센터C는 6-1생활권과 2생 및 S-1생 일부를 관할구역으로 두는데, 사업계획은 수립 단계에 있다. 행복청은 2030년까지 행복도시에 발생하는 약 20만톤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이 같은 4개소의 수질복원센터 건립을 매듭짓는다.
![]() |
2030년까지 4개 시설로 건립되는 수질복원센터. 사진=행복청 제공. |
오진수 녹색에너지환경과장은 "하수를 자원화해 깨끗한 물순환 도시로 조성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녹색도시의 필수 과제"라며 "철저한 공정 및 품질 관리를 통해 시민이 체감하는 맑은 물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
2026년 11월 본모습을 보여줄 제2금강교 조감도. 사진=행복청 제공. |
공주시와 협력해 기존의 노후 금강교를 대체하는 기능으로 진행 중이고, 공주시 신관동과 금성동을 연결하는 총연장 513.7m, 폭 9~12m의 신설 교량이다. 2023년 8월 착공 이후 2024년 말까지 육상부 교각 설치를 완료했으며, 올 초에는 공산성 앞 회전교차로 설치를 위한 지장물 철거를 마쳤다. 현재 교대 및 수중부 교각 설치가 진행 중이다.
올해 말에는 교각 상부 거더를 거치하고, 2026년에는 교량상판 슬라브를 설치해 11월께 준공할 계획이다.
권장섭 광역도로과장은 "공주시의 오랜 숙원사업인 제2금강교가 완공되면, 출퇴근 시간 단축은 물론 행복도시와 공주시의 상생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품질관리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제2금강교 위치도.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