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현장체험학습 폐지 논란, 학생과 교사가 만족할 수 있는 해결방안은 무엇일까

  • 전국
  • 천안시

[기고] 현장체험학습 폐지 논란, 학생과 교사가 만족할 수 있는 해결방안은 무엇일까

김영춘 국립공주대 전 대외부총장

  • 승인 2025-04-07 15:37
  • 신문게재 2025-04-08 18면
  • 김한준 기자김한준 기자
KakaoTalk_20250327_122828406
지난 2월 11일 춘천지방법원은 현장체험학습 도중 운전자 부주의로 학생이 목숨을 잃은 사망사고에 인솔 교사에게 형사책임을 인정하며 금고 6개월, 집행유예 2년, 교사직 박탈 등을 판결했다.

이번 판결로 인해 교사들은 '인솔교사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가 없는 현장체험학습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교사 9692명이 참여한 현장체험학습 관련 교사노동조합연맹의 설문조사 결과 96%의 교사들은 현재 시스템에서 현장체험학습 운영 시 교사와 학생의 안전확보가 불가능하며, 81%의 교사가 안전사고의 법적 책임이 무서우니 현장체험학습을 폐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초중등 교육법 24조 3항에 보면 '학교의 장은 교육상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실습 운영 등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업 운영에 관한 사항은 교육부 장관이 정하는 범위에서 교육감이 정한다'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장체험학습은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필수활동이나 의무적 교육활동이 아닌 교육적 판단에 의해 이뤄지는 선택적 활동에 해당한다.

학교 현장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지난해 제정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학교안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의결돼 2025년 6월 2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학교안전법 개정안 10조 5항은 '학교장 및 교직원은 학생에 대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조치의무를 다한 경우에는 학교안전사고에 대하여 민사상·형사상 책임지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지만, 교사들은 여전히 심각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안전조치의무를 다한 경우'의 기준이 구체적이 않아 책임의 범위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핀란드는 거의 모든 학습이 체험학습이기에 '체험학습'이라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근처 호수에서 하는 생물 수업, 숲에서 돌과 솔방울 덧셈과 뺄셈을 하는 수학 수업, 과학관이나 박물관 방문, 학부모의 일터로 가서 배우는 진로 교육 등 모든 수업이 체험학습이라 학습 효과도 높다고 한다.

그 외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10명 내외로 규정해 체험학습을 진행해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현장체험학습은 교육과정과 연계해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교육활동으로서, 1일형 현장체험학습과 2일 이상 이뤄지는 수학여행·수련활동과 같은 숙박형 현장체험학습으로 구분한다. 운영방침을 보면 현장체험학습 준비 과정에서 교사·보호자·학생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학교(유치원)운영위원회에 심의를 거쳐 진행하도록 됐다.

현장체험학습은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배움의 장이다.

특히 학교나 교실을 벗어나 삶의 현장에서 교육활동을 하므로 배우는 즐거움은 물론 학습효과도 높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솔 교사의 법적 보호장치의 미흡으로 존폐 논란에 있다.

혹자는 현장체험학습은 가정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교사들은 학생, 학부모, 교사가 만족하는 현장체험학습은 가능할까, 안전교육을 이수한 보조교사의 배치로 가능할까, 안전확보에 도움은 되겠지만 사고가 발생하면 교사의 책임은 없어질까 우려한다.

우선 '안전조치의무를 다한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매뉴얼이 제시돼야 할 것이다.

그래야 학생, 학부모 교사가 만족한 현장체험학습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교사들이 매뉴얼에 따라 안전조치의무를 다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김영춘 국립공주대 전 대외부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 vs 세종시 완전 이전' 놓고 가치 충돌
  2. 대전교육청, 초등생 살해교사 명재완씨 징계 확정… 최고 수준 '파면' 예상
  3. 폐기물 4만t 묻힌 재건축 현장, 40년 전 저지대 정비목적 추정
  4. 한국연구재단 사칭해 생명보험 가입 권유? "금융 관련 요구 안해, 피해 주의"
  5. [사설] 22년 전 '신행정수도' 불가능하지 않다
  1. 대전과기대-서구청 라이즈로 동반성장
  2. [사설] 조기 대선에 줄 잇는 현직 단체장 출마
  3. 가짜 인터넷 쇼핑몰 만들어 보이스피싱 벌인 20대 '징역형'
  4. 밀알복지관 행복어울림농장 근로환경개선
  5. ‘6월 모평’ 4일로 변경… 대선과 겹쳐 하루 연기

헤드라인 뉴스


6·3대선 이장우·김태흠 효과 나올까 충청 촉각

6·3대선 이장우·김태흠 효과 나올까 충청 촉각

충청 잠룡인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6·3 대선 출격을 저울질하는 가운데 충청 발전을 위한 중대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을지 지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민의힘 소속인 이들이 실제 대선링에 오를 경우 충청권 현직 시도지사로는 역대 세 번째 대권 도전으로 그동안 고질병으로 지적돼 온 충청홀대론을 불식하고 여의도 정치에서 주류로 서기 위한 변곡점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이 시장과 김 지사 등 충청권 4개시도지사는 10일 오전 세종시에서 조찬회동을 하고 조기 대선 정국에 대해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대선..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3. 대전 유성구 죽동 일대 카페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3. 대전 유성구 죽동 일대 카페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건설업 취업자 역대 최대 감소 `고용한파` … 제조업도 4년 4개월만 최다
건설업 취업자 역대 최대 감소 '고용한파' … 제조업도 4년 4개월만 최다

국내 산업계 취업자 수가 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과 제조업의 고용한파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2013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 감소 수준을 보였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3월 취업자 수는 2858만 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 3000명 늘었다. 취업자 수는 올해 들어서 꾸준한 늘었다. 1월(13만 5000명)과 2월(13만 6000명), 3월(19만 3000명)까지 세 달 연속 증가폭이 커졌다. 취업자 증가와는 반대로 건설업과 제조업은 고용 부진이 심화됐다. 먼저, 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불꽃 튀는 열정으로’ ‘불꽃 튀는 열정으로’

  • ‘사고나면 어쩌려고’…안전불감증 여전 ‘사고나면 어쩌려고’…안전불감증 여전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