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3년 대전 산직동 산불 발생 후 민가와 산림이 새까맣게 불에 탄 모습. 이성희 기자 token77@ |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서구청이 올해도 복구작업 중이다. 전체 인공복구 비용만 8억 5000만 원(국비·지방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공복구는 자연 복구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 되는 훼손 산림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 28㏊까지 복구한 상태고 올해 상반기 중으로 5㏊ 더 조림을 완료할 계획이다. 나머지 훼손 지역은 국비 예산을 다시 확보해 진행해야 한다.
홍성은 인공복구 비용만 100억 원에 달한다. 대전 산직동 산불과 같은 시기 대형 산불로 축구장 약 1500개 면적에 해당하는 1347㏊의 산림이 모조리 탔고 산림 훼손이 심각해 1100㏊에 대해 조림 복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360㏊의 인공복구 작업을 완료했고, 올해 6월 62%(680㏊)까지 복구율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산불이 나기 전 상태처럼 숲과 생태계가 완전히 복원되려면 최소 20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2023년 발표한 27년간의 산불피해지 복원 과정 연구 자료를 보면, 산불이 발생하고 20~25년 정도 지나면 외관상 산불피해지라고 볼 수 없을 만큼 숲이 발달 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복원 작업이 이뤄져도 산림 생태계는 모두 회복되지 않는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어류는 3년, 수서동물 9년, 곤충(개미)은 14년 안에 회복됐으나, 포유류는 20년이 지난 후에도 81~86%(개체 수 기준), 조류는 62~72% 수준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토양 유기물도 산불 미 피해지보다 더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그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발생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가장 많았다. 최근 10년간 대전에서 발생한 산불은 65건으로 665㏊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는데, 이중 기타(34건)를 제외하고 입산자 실화 17건으로 가장 많았다. 곧이어 쓰레기 소각(7건), 논·밭두렁 소각(6건), 어린이 불장난(1건) 순이었다.
같은 기간 충남도 산불 발생 382건(피해면적 2088㏊) 중 입산자 실화가 178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85건), 쓰레기 소각(64건), 담뱃불 실화(32건), 성묘객 실화(15건), 논·밭두렁 소각(8건)으로 인해 산불이 났다.
최근 경남·경북 일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규모 산불 원인도 대부분 입산자 실화로 성묘객 실수 등 부주의로 인한 인재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불 피해 면적은 4만 8238㏊에 달한다. 이에 실화자들이 처벌을 받는 것은 물론, 민사상 손해 배상 책임까지 질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산불이라도 산불 원인 행위자는 산림 보호법 제53조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