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일부 고위 공무원들의 경우 행정 공무와 관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 및 단체들과 유대 강화와 화합이라는 명목으로 지역 단체들과 함께 잦은 모임 참석은 물론, 타 지역 장거리 외지 연수를 참석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해외까지 동행하는 경우마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로 인해 해당 단체와는 유대 강화 화합 측면에서 일부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다른 쪽에서는 오히려 편 가르기 및 위화감을 조성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A 면장이 B 민간 단체와 중국을 다녀오는가 하면, 올해 초에도 다른 지역 C 면장이 D 민간단체와 3박 4일의 일정으로 대만을 다녀온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E 면장이 F 농협 조합원 20명과 함께 영농기술 향상과 글로벌 농업 동향 파악이라는 명목으로 중국 망산 지역을 방문하기 위해 27일 오전 4시에 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중국을 방문한 시기는 10여 일째 계속되는 경상도 일원의 대형 산불로 인해 29일 현재 30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중상 9명, 경상 36명의 부상자 등 모두 75명이 산불로 인해 목숨을 잃거나 다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소방공무원은 물론 일반 공무원들과 주민들이 산불 진화 및 예방에 사투를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서울 여의도(290ha) 면적의 166배에 달하는 4만8238ha가 산불 피해를 입었으며, 주택 2996채, 농업시설 1242곳 등 4801곳, 이재민이 4193세대 6885명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전국이 초비상인 상황인데도 공무와 연관이 없는 단체와 해외로 출국한 것에 대해 시민들은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서산시의 경우에도 지난 26일 대산읍에서 화재가 발생해 27일 충남도 산림환경국장이 대산읍을 방문, 운산리 화재 현장 진화 관련 직원 격려 및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성일종 국회의원도 서산소방서와 태안소방서를 방문 격려하면서 산불 대비 태세 강화를 요청하는 등 전국이 비상 상황인 실정이다.
또한, 시장을 비롯한 간부 공무원들이 산불 관련 경계 강화를 독려하면서,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산불 조심 안전 문자를 수시로 산불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일선 지방행정을 책임지는 공무원이 자리를 비운 것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한 관계자는 "산불이 발생하기 오래전부터 조합 측과 약속이 계획되어 있었던 일정이었다"며 "앞으로 지역 주민들로부터 불편한 시선을 받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