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안군청 전경 |
통계청과 행정안전부 산정 결과 부안군 생활 인구는 2024년 2분기 37만3516명, 3분기 40만1087명으로 정읍·남원·김제시 및 진안·무주·장수·임실·순창·고창군 등 전북자치도 10개 인구감소지역 중 2분기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생활 인구는 국가 총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지방소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교통,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성과 활동성이 증가하는 생활유형을 반영하기 위해 2023년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도입된 개념이다.
기존 주민등록 인구에 근무, 통학, 관광, 휴양 등의 목적으로 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특정 지역을 방문해 체류하는 인구와 출입국관리법상 등록 외국인 등을 포함한 인구를 말한다.
이는 정주인구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 일정 빈도로 특정 지역에 체류하는 사람까지 지역의 인구로 보는 것으로 최근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인구 개념인 생활인구 제도를 도입하고 2025년부터 보통교부세 산정 기준에 생활 인구를 반영할 계획이다.
부안군의 2분기 연속 생활인구 1위 달성은 생활인구 확보 방안 발굴 보고회와 생활인구 확보방안 추진상황 보고회 등을 개최하고 관·과·소·읍·면별 생활인구 확보 방안을 발굴 추진한 점이 주효했다.
실제 부안군은 생활인구 기본 조례 제정과 부안사랑인 홈페이지 구축, 한평생 부안갯벌 프로젝트, 부안상설시장 관광투어 접목 체험 이벤트 진행, 부안관광 스탬프투어 활성화, 타 지역 반려인도 함께하는 반려동물 놀이터 운영 등 70여개 생활인구 확보 방안을 발굴해 추진하고 있다.
부안군은 생활인구 확보 방안과 특색 있는 지역자원을 연계해 2025년에는 월평균 생활인구 40만 명 유입을 목표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해 나갈 계획이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부안군은 부안사랑인 제도 운영과 한평생 부안갯벌 프로젝트 등 다양한 생활인구 확보 정책을 발굴해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안=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