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재민들이 머물 수 있도록 정부나 기업의 연수시설 및 호텔·리조트 등으로 이동하도록 추진하고, 주거지 인근 마을에도 에어돔 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장기적으로는 임시주거용 조립주택을 신속히 설치해 제공하고 영구임대주택단지 등 'K-재난구호' 보금자리를 조성해 마을공동체를 회복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 산불 피해 지역인 의성군, 안동시, 영양군, 영덕군, 청송군 등 5개 시·군 주민 27만여 명에게는 1인당 30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안정을 위해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등 사업자 부담분을 지원하고 저리의 금융지원도 밝혔다.
경북도는 또 이번 산불과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산불 대응 시스템 대전환도 추진한다.
산불 진화용 드론과 무인 진화 로봇 등 야간에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대응 시스템을 도입하고 풍속에 따른 대피 행동 요령을 반영한 '산불대피 표준 매뉴얼'을 개정할 계획이다.
또 대형산불 대응을 위해 군 수송기 활용 검토와 산악지형에 특화된 산불 진화 전용 소방차 개발 등 잔화 장비의 개선에도 노력하기로 했다.
이철우 지사는 "초대형 산불로 인해 국민 여러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매우 미안하게 생각한다"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일이 가장 중요한데 생명을 지키는 일에 있어서 매우 부족했다"고 머리를 숙였다.
이어 "완전 진화에 최선을 다하고 신속한 복구대책 마련과 구호를 통해 이재민의 일상 회복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영덕=김원주 기자 kwj896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