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군수는 이날"어르신들이 살고 계신 곳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재가돌봄'을 핵심으로 한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군수는"올해 증평군만의 차별화된 재가돌봄모델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은 2024년 온마을돌봄센터를 중심으로 증평형 노인복지모델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며 지역 맞춤형 돌봄 체계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올해는 기존 2개 마을에서 8개 마을로 확대하고 시내권인 창동리 개나리어울림센터에도 온마을돌봄센터를 신설해 농촌형과 도시형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어르신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생산적 공동체 활동도 확대한다.
2024년 농업형 생산적 공동체 활동 추진에 이어 올해는 지역 기업체와 연계한 저강도 단순작업형 공동체 활동을 도입해 다양한 어르신들의 참여를 지원한다.
여기에 스마트 돌봄 환경 구축을 위해 AI기술도 적극 도입한다.
군은 NHN의 시니어케어 전문 자회사인 와플랫과 협약을 맺고 4월부터 AI기반의 안심케어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며 24시간 공백 없는 돌봄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모바일 치매예방 플랫폼'인지케어'의 활용도를 높여 어르신들의 인지 건강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돌봄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는'(가칭)어르신 돌봄 지원단'도 운영한다.
요양보호사 마을인 덕상3리 인력을 활용해 지역사회 중심의 공동 돌봄 체계를 마련한다.
아울러 농촌 돌봄서비스 활성화 지원사업 등 공모사업을 연계해 마을주민이 주체가 되는 지속 가능한 돌봄 모델을 정착시킨다.
노인 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력해 방문 진료 및 재가 의료시스템 구축에도 나선다.
이를 통해 퇴원 후 어르신의 사회 복귀를 돕고 긴급돌봄 서비스, 장기요양 연계, 반찬 지원, 정서 지원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해'생애말기 재가돌봄'시스템을 도입해 어르신들이 익숙한 환경에서 존엄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단계별, 기관별 체계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군은 경찰서, 의료기관, 장례식장과 협력해 사망 절차를 간소화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등 임종 준비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 군수는"차별화된 노인복지모델을 구축하는 등 지역 어르신들이 존엄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증평=박용훈 기자 jd36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