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시도 '균형발전 위한 지역개발사업 간담회'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4개시도 '균형발전 위한 지역개발사업 간담회'

대전국토관리청 1조 4976억 중 71% 상반기 집행 및 사업 추진 강조
대전 충청권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세종 시도를 국도 지선 승격 건의

  • 승인 2025-03-26 16:53
  • 신문게재 2025-03-27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KakaoTalk_20250326_162728346
대전국토관리청은 26일 충청권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개발사업 간담회를 했다. 사진=대전국토관리청 제공.
국토교통부 산하 대전국토관리청(청장 방윤석)은 26일 '충청권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개발사업 간담회'를 했다.

이날 간담회엔 충청권 4개 시도(대전시 김종명 철도건설국장, 세종시 윤종오 도로과장, 충북도 이호 균형건설국장, 충남도 최동석 건설교통국장)가 참석했다. 이들은 올해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서 수행하는 도로·교통·지역개발사업 등 충청권 지역개발사업 추진 상황을 공유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지자체 현안 사항 등 의견을 청취했다.

간담회에서 대전국토관리청은 지역경제와 건설 경기 회복을 위해 올해 도로 등 지역개발사업에 1조 4976억 원 중 71%인 1조 633억 원을 상반기 내 신속 집행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또 올해 추진예정인 국도건설 및 지역개발 사업 등을 차질없이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교통편의 측면에서 충청내륙고속화도로 전 구간 개통으로 청주~증평~음성~충주~제천 간 통행시간 단축과 연산~두마, 북일~남일1의 국동교차로, 영동~용산1-2 개통으로 거점도시 간 연계 강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이뿐 아니라 간담회에 참석한 충청권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지역 균형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건의사항 및 현안사업에 대한 의견을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 전달했다.

대전시에서는 대전-충청 광역경제생활권 형성 및 경부·호남고속도로 교통혼잡 해소를 위한 충청권 제2외곽 순환 고속도로 건설 등을, 세종시는 도로 체계적 관리를 위해 시도를 국도의 지선으로 승격을 각각 건의했다.

충북도는 충북 반나절 생활권 실현을 위한 충청내륙고속화도로 조기 완성 및 제6자 국도·국지도 건설계획에 충북 내 사업 최대 반영 등을, 충남도는 제6자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일괄예타 공동 대응과 지자체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국비 예산 편성, 충남권 동서축 고속도로(보령~대전, 태안~안성) 건설 등을 건의했다.

방윤석 대전국토관리청장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와 지자체 간 긴밀한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며 "앞으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도로와 철도 등 지역 균형발전과 밀접한 사업 추진 시에는 지자체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국토교통 정책에 적극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2. 천안시의회, '품격있는 지역 축제문화 창출을 위한 연구모임' 1차 간담회 개최
  3. [인터뷰]제14대 충남대 명예교수회 회장 취임한 임용표 명예교수
  4. 산단공 충청본부, '충남 공공주도 산단 태양광 사업추진 협의회' 발대식
  5. 금강 세종보 '철거 VS 유지' 논란...또 다른 변수는 민주당
  1.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2.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3. '성추행 혐의 기소' 송활섭 대전시의원 징계 촉구 목소리 커져
  4. 성락종합사회복지관 개관 33주년 맞이 상생포럼 ‘재개발 속 주민복지, 공존을 그리다’
  5. 천안함 46용사 ‘영원히 기억하겠습니다’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충청권 산불예방진화대원 60대 이상 고령 뿐… 전문 대원 운영·처우 '열악'

매년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지만, 충청권 산불 진화 전문인력 운영 체계와 처우는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소속 산불 예방진화대는 단기 일자리로 고용돼 60대 이상 노인이 대부분이라 전문 정예화가 어렵기 때문이다. 산림청 소속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공무직임에도 불구하고 위험수당조차 받지 못해 정부 차원에서 인력과 예산 지원에 대한 개선 논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법적으로 산불 현장에 투입되는 진화 인력으로 각 지자체마다 산불전문예방진화대를 운영 중이다. 현재 대전에서는 71명, 충남은 6..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 전세 줄고 월세·자가소유 늘어… 양극화 심화 우려

30대 초반에 전세 세입자 비율이 감소한 반면, 월세·자가 거주 비율은 늘었다는 통계가 나왔다. 월세와 자가 거주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부동산 급등기 자산 격차가 확대되면서 가정을 꾸리는 청년 세대의 '주거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도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이 발표한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에 따르면,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와 자가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

대전 비위생매립장 60곳 중 2곳만 관리…침출수·매립가스 실태조사 필요
대전 비위생매립장 60곳 중 2곳만 관리…침출수·매립가스 실태조사 필요

<속보>=40년 전 사용을 마친 생활폐기물 매립장에서 지금까지 침출수가 유출되면서 나머지 비위생매립장에 대한 실태조사가 요구된다. 사용 완료 매립장 중에 지자체는 국유지에 있는 2곳만 침출수와 매립가스를 관리하는 중으로 대다수 매립장은 침출수 처리공정과 차수막도 없이 그대로 묻혀 있는 실정이다. <중도일보 3월 25일자 3면, 26일자 1면, 27일자 6면 보도>대전 서구 봉곡동의 1985년 매립을 완료한 비위생매립장에서 침출수가 현재까지 유출되는 게 확인된 가운데 중도일보가 추가로 확인한 사용완료 매립장 3곳에서도 오염을 예방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대전 현장최고위원회의 참석한 이재명 대표

  •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 4.2 재·보궐선거 사전투표소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