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밀양시청 전경<제공=밀양시> |
하지만 사업 간 중복성과 실질적 성과에 대한 점검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밀양시는 올해 통근버스, 기숙사 임차비, 천원 아침 식사 등 근로자 복지와 경영 안정화를 위한 직접 지원 사업을 대폭 확대했다.
특히 중소기업 기숙사 임차비 지원 예산은 지난해 9500만원에서 올해 3억6000만원으로 약 4배 이상 늘렸다.
초동특별농공단지에는 1000원 아침 간편식을 제공하는 신규 복지사업도 도입됐다.
187명 노동자에게 샐러드, 샌드위치 등 간편식을 하루 1천 원에 공급하고 있으며, 당일 제조 후 직접 배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통근버스 사업도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시는 2019년부터 시작한 산업단지 통근버스 지원사업을 기존 도비 의존에서 시비 전환 후, 고용부 일자리 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올해 4월부터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다.
현재 용전·미전·초동 산업단지에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모든 근로자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밀양시는 기업 맞춤형 인력지원, 노동환경 개선, 창업기업 고용보조, 이주정착금 지원 등 8개 복지 사업에 총 10억6200만 원을 투입하고 있다.
또한 '내일채움공제' 가입을 통해 청년 인재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기업 경영안정을 위한 정책도 확대됐다.
중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최대 10억 원까지 지원하는 육성자금 융자사업과 신용보증 수수료, 박람회 참가, 입찰정보 제공 등 9개 사업에 23억1700만 원이 책정됐다.
이차보전율은 3.0%를 기준으로, 창업 초기·장애인기업 등에는 최대 2%까지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산업 구조 고도화를 위한 지원도 시작됐다.
스마트공장 도입, 미래차 업종전환 촉진 등 총 5개 사업에 2억5000만 원을 편성해, 기술기반 제조 혁신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다양한 사업들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지원 대상 중복과 유사 사업 간 경계 모호성, 성과의 측정 방식 부재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복지성 지원의 경우, 장기적인 고용 안정이나 기업 정착 효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체계적 분석도 미흡한 실정이다.
시는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기업활동지원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6월에는 경남도와 함께 현장 상담반을 운영해 애로사항을 접수할 계획이다.
또한, 향토기업 유출 방지를 위해 재투자 기업 인센티브 확대를 골자로 한 조례 개정도 추진 중이다.
안병구 밀양시장은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기업의 안정적 경영과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밀양=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