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풍으로 면소재지 2km까지 접근한 산불<제공=하동군> |
26일 오전까지 집계된 피해 면적은 680ha에 달하며, 인근 14개 마을에서 1416명 주민이 긴급 대피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불은 지난 22일 오후 2시 57분경 산청군 시천면에서 최초 발생했다.
이후 강풍을 타고 하동군 옥종면 정개산 인근까지 번졌으며, 면소재지에서 2km 이내까지 불길이 접근했다.
특히 25일 오후부터 돌풍이 거세지며 하동 내 주요 문화재 보호에 초비상이 걸렸다.
26일 새벽 1시경에는 경남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모한재와 국가유산 보유 사찰인 청계사까지 산불이 위협했다.
이에 따라 소방, 경찰, 산림청 진화대가 총력 대응에 나섰고, 자정을 넘기며 바람이 다소 잦아들면서 추가 피해는 막을 수 있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시설 피해는 두방재 관리사 2동과 일부 은행나무 훼손으로 제한돼 있다.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산림 당국은 26일 오전 헬기 30대를 긴급 투입해 공중 진화에 나섰다.
하동군은 같은 날 오전 7시부터 공무원 총동원령을 발령하고, 소방·경찰·군 병력 등 1500여 명을 현장에 투입했다.
산불 확산 방지와 동시에 주민 보호 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복지회관, 실내체육관, 옥종초·중·고 등 9개소에 임시 대피소를 마련했다.
군은 대피 주민들에게 의료 지원과 정신건강 상담을 병행해 심리적 불안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해 형성된 화선 길이는 약 21km로 분석됐다.
산림청은 현재까지 피해 지역 일대를 중심으로 방화선 구축을 진행 중이며, 추가 확산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산불 발생 직후부터 진화 현장과 지휘 본부에 상주하며 직접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하 군수는 "군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현장에서 끝까지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산불과 관련한 추가 피해 및 원인 조사는 산림청과 하동군이 합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산불 진화가 마무리되는 대로 피해 복구와 지원 방안도 함께 논의될 예정이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