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영시 매장유산 유존지역 정보고도화 사업 착수<제공=통영시> |
개발 전 문화재 분쟁 예방과 토지 이용 불편 해소를 목표로 한 정밀조사 사업이다.
경남 통영시는 지난 21일 '매장유산 유존지역 정보고도화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갔다.
이번 사업은 땅속에 문화재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은 유존지역을 정밀조사해 훼손을 방지하고, 보존 기준을 합리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가유산청 국비 1억5000만 원을 포함해 도비·시비를 합쳐 총 2억2000만 원이 투입되며, 사업 기간은 1년이다.
정밀조사는 통영시 도시지역 전체(1읍 3면 17법정동, 약 58.32㎢)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조사 범위는 선사시대부터 1950년 한국전쟁 이전까지며, 매장유산 현황과 유존지역 경계가 정밀히 파악될 예정이다.
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유산 위치를 시각화한 '매장유산 유존지역도(GIS)'를 제작하고, 기존 데이터베이스도 최신화한다.
매장유산 유존지역은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아 개발 중 훼손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른 민원도 빈번하다.
통영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매장유산으로 인한 건축사업 지연이나 토지 이용 불편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비도시 지역인 섬 지역까지도 사업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정비는 개발과 보존 간 갈등을 줄이는 정보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평가된다.
통영시 매장유산의 관리 체계가 이번 고도화 작업을 통해 얼마나 정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통영=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