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기일전해야 할 한 총리의 어깨는 그만큼 무겁다. 정치적 셈법에 휘둘리지 않고 국정에 전념하는 본을 보이기 바란다. 한 총리 탄핵 기각이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미칠 영향을 과도하게 속단할 필요는 없다. 헌재 선고가 기약 없이 늦어져 국가적으로나 지역사회의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너무 긴 헌재의 시간에 비례해 점점 안갯속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진짜 분수령은 쟁점을 좁혀 결정문을 낭독하는 순간이다.
나라와 지역사회가 두 쪽 나 있다면 5대 4나 6대 3 등의 비율은 큰 의미가 사라진다. 탄핵을 바라보는 시선은 첨예하게 양분된다. 대한민국을 힘들게 하는 결정적 요인은 우리 내부의 갈등이다. 대통령 탄핵심판 종반전 상황에서 국민통합과 멀어진 집단 간 대립과 반목은 이미 위험수위다. 헌재 흔들기를 멈추라고 단체 압박에 나서는 여야 역시 자중하고 헌법과 법률 테두리 안에서 다퉈야 한다. 앞장서 극단적 사회 불안을 다독여야 할 주체들이 왜 이러나.
지역민에게도 이견을 존중하면서 공감을 찾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정신이 절실하다. 안정된 국정 운영에 전력을 다하는 기본도 이것이다. 슈퍼위크로 일컫는 '격랑의 한 주'를 온몸으로 맞고 있는 경찰도 최악의 상황에 잘 대처해야 한다. 정치·사회적 불안정이 소비자 지갑을 닫게 하고 지역경제를 더 위축시킨다. 미국을 필두로 세계는 관세 전쟁 중이다. 복귀 일성으로 "극단으로 갈라진 사회는 불행으로 치달을 뿐"이라고 밝힌 한 총리부터 국가적 난제인 갈등관리 책임을 스스로 명확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