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병조 운영위원장 |
내게는 미호천 상류의 도랑에서 물고기를 잡을 때 우연히 그물에 들어와 요동치던 뱀장어의 기억이 있고, 물이 끊어진 봇도랑의 웅덩이에서 물을 따라가지 못한 물고기를 손으로 잡다가 얼결에 마주한 민물 참게를 만난 기억도 했다. 다리에 털이 덮인 참게는 빠르게 도망을 갔다. 노인들에게 그 시절 이야기를 들어보면 금강과 금강의 지류 어디에서나 뱀장어와 참게를 잡을 수 있었다고 말한다. 노인들의 기억 속에 뱀장어와 참게에 대한 추억이 또렷하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그런 기억이 끊기었는데 되돌아보면 그날이 금강 하굿둑이 완성된 날과 같다. 1990년 금강 하굿둑이 만들어진 이후 금강과 지류에 참게와 뱀장어는 사라지고 말았다. 금강의 모든 하천에서 뱀장어와 참게가 사라진 것이다. 그 흔하던 뱀장어와 참게가 사라진 것은 쌀농사와 공장에 물을 공급하겠다는 개발과 무관하지 않다. 생활물자와 쌀로 바꾼 셈인데 왠지 손해 본 것 같다. 눈에 띄게 없어진 것은 참게와 뱀장어지만 우리가 느끼지 못한 순간, 사라진 물고기는 훨씬 더 많을 것이다. 하천에서 논농사를 위해 물길을 막은 시멘트 보는 모래의 흐름을 막았고 보의 상류를 펄로 가득 채워 모래와 함께 사는 모래무지, 미호종개, 마주의 서식지를 없앴다.
우리나라에 오는 뱀장어는 필리핀의 깊은 바다에서 태어나서 강을 따라 올라와 민물에서 3~4년을 살면서 성어가 된다. 다 자란 뱀장어는 강을 따라 바다로 돌아가고 필리핀 근처의 마리아나 해구에서 알을 낳는다. 이렇게 바다와 민물을 따라 돌고 돌며 살아가는데 금강 하구에 댐을 막아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지 못하게 하면서 뱀장어가 금강에서 사라진 것이다. 금강을 오르내리던 뱀장어의 순환이 끊기면서 뱀장어의 숫자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30년 전의 10% 수준으로 줄었다고 한다. 계속해서 강의 하구를 막고 바닷물과 민물이 섞이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진다면 뱀장어는 영원히 사라질지도 모른다. 뱀장어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참게, 우어가 이미 사라졌고 강 하구와 만나는 기수역의 각종 게 종류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우리가 관심을 두지 못하는 사이에 엄청난 수의 물속 생물이 사라지고 있다.
낙동강 하굿둑은 완공된 지 35년 만인 2022년 2월에 열었다. 10개의 수문 중 9번 수문을 음력 보름과 그믐 대조기에 하루 2~4시간 정도 연다. 대조기는 한 달에 두 번 바닷물 수위가 강물보다 높아지는 시기다. 모든 수문을 개방한 것은 아니지만 눈에 띄는 변화가 관찰되었다. 대표적인 회유성 어종이자 경제적 가치가 높은 실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이 수문 개방 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부산대학교 주기재 교수는 "하굿둑 수문을 특정 회유성 어종(실뱀장어)의 생활사에 맞추어 조절해 줄 수 있다면 해당 종의 이동성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어 어업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금강에서도 가능한 일이다. 해양수산부 주도로 금강하구 생물 다양성을 위한 연구와 다른 연구들에 따르면 금강의 하구 수문을 만조시에 열면 바닷물과 섞이는데 시간과 수문을 조절하면 염분을 하구에서 5㎞ 정도까지만 올라가게 할 수 있다고 한다. 금강 하구를 계절별로 그리고 특정 시기에 부분 개방만 하더라도 농업용수나 공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다는 것이 연구 과정에서 밝혀졌다. 이 결과로 생각해 보면 뱀장어 치어가 금강 하구로 향하는 2~4월까지 금강 하구의 바닷물과 금강물의 수위가 같아지는 만조 때에 수문을 조절한다면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게 되고 그 만나는 시간에 뱀장어 치어가 금강에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적은 숫자의 치어가 들어오겠지만 이들이 금강을 따라 각각의 하천으로 흩어져 자라고 다시 바다로 가고 다시 치어가 금강 하구의 수문을 통해서 이동한다면 뱀장어의 숫자는 다시 늘어나게 될 것이다.
뱀장어가 금강에 돌아오면 뱀장어만 돌아오는 것이 아니다. 바닷물과 민물이 잠시 교차하고 교류하는 순간에 뱀장어, 참게, 우어 그리고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물고기와 게, 그리고 다양한 플랑크톤이 섞이게 될 것이고 금강 하구의 생물 다양성은 높아지게 될 것이다. 미국의 시애틀에서는 강으로 돌아오는 연어를 통해서 강의 건강성과 연어를 통해 얻어지는 지역경제 지속가능성을 측정한다고 한다. 금강에 뱀장어가 돌아오고 금강의 지류에서 뱀장어가 잡힌다면 금강의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것이 된다. 물고기 잡는 어부와 함께 살아가는 경제가 살아나게 될 것이다. 금강에 뱀장어가 돌아오는 것이 금강 유역의 지속 가능성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최병조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