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금강에 뱀장어가 돌아오는 날을 꿈꾼다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금강에 뱀장어가 돌아오는 날을 꿈꾼다

최병조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위원장

  • 승인 2025-03-24 09:50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KakaoTalk_20250322_210218994
최병조 운영위원장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은 금강의 지류 미호강의 최상류인 음성군 대소면이다. 초등학교에 다녔던 1970년대에 우리 동네 미호강의 본류는 구불구불했다. 하천 둑에는 미루나무가 그리고 하천 둑과 물이 맞닿는 곳에는 버드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었다. 1980년 초 경지정리로 논을 바둑판처럼 만들면서 하천도 직선화되었다. 그러자 하천의 버드나무 숲과 모래사장이 사라졌다. 직선으로 뻗은 하천이 좋은 것인 줄 알았지만, 그때부터 하천의 물이 더러워지기 시작했다. 물놀이를 할 수 없게 되었고, 물고기도 피라미가 주종을 이루고 어느 곳에서나 잡히던 모래무지마저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내게는 미호천 상류의 도랑에서 물고기를 잡을 때 우연히 그물에 들어와 요동치던 뱀장어의 기억이 있고, 물이 끊어진 봇도랑의 웅덩이에서 물을 따라가지 못한 물고기를 손으로 잡다가 얼결에 마주한 민물 참게를 만난 기억도 했다. 다리에 털이 덮인 참게는 빠르게 도망을 갔다. 노인들에게 그 시절 이야기를 들어보면 금강과 금강의 지류 어디에서나 뱀장어와 참게를 잡을 수 있었다고 말한다. 노인들의 기억 속에 뱀장어와 참게에 대한 추억이 또렷하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그런 기억이 끊기었는데 되돌아보면 그날이 금강 하굿둑이 완성된 날과 같다. 1990년 금강 하굿둑이 만들어진 이후 금강과 지류에 참게와 뱀장어는 사라지고 말았다. 금강의 모든 하천에서 뱀장어와 참게가 사라진 것이다. 그 흔하던 뱀장어와 참게가 사라진 것은 쌀농사와 공장에 물을 공급하겠다는 개발과 무관하지 않다. 생활물자와 쌀로 바꾼 셈인데 왠지 손해 본 것 같다. 눈에 띄게 없어진 것은 참게와 뱀장어지만 우리가 느끼지 못한 순간, 사라진 물고기는 훨씬 더 많을 것이다. 하천에서 논농사를 위해 물길을 막은 시멘트 보는 모래의 흐름을 막았고 보의 상류를 펄로 가득 채워 모래와 함께 사는 모래무지, 미호종개, 마주의 서식지를 없앴다.

우리나라에 오는 뱀장어는 필리핀의 깊은 바다에서 태어나서 강을 따라 올라와 민물에서 3~4년을 살면서 성어가 된다. 다 자란 뱀장어는 강을 따라 바다로 돌아가고 필리핀 근처의 마리아나 해구에서 알을 낳는다. 이렇게 바다와 민물을 따라 돌고 돌며 살아가는데 금강 하구에 댐을 막아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지 못하게 하면서 뱀장어가 금강에서 사라진 것이다. 금강을 오르내리던 뱀장어의 순환이 끊기면서 뱀장어의 숫자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30년 전의 10% 수준으로 줄었다고 한다. 계속해서 강의 하구를 막고 바닷물과 민물이 섞이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진다면 뱀장어는 영원히 사라질지도 모른다. 뱀장어만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참게, 우어가 이미 사라졌고 강 하구와 만나는 기수역의 각종 게 종류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우리가 관심을 두지 못하는 사이에 엄청난 수의 물속 생물이 사라지고 있다.



낙동강 하굿둑은 완공된 지 35년 만인 2022년 2월에 열었다. 10개의 수문 중 9번 수문을 음력 보름과 그믐 대조기에 하루 2~4시간 정도 연다. 대조기는 한 달에 두 번 바닷물 수위가 강물보다 높아지는 시기다. 모든 수문을 개방한 것은 아니지만 눈에 띄는 변화가 관찰되었다. 대표적인 회유성 어종이자 경제적 가치가 높은 실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이 수문 개방 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부산대학교 주기재 교수는 "하굿둑 수문을 특정 회유성 어종(실뱀장어)의 생활사에 맞추어 조절해 줄 수 있다면 해당 종의 이동성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어 어업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말했다.

금강에서도 가능한 일이다. 해양수산부 주도로 금강하구 생물 다양성을 위한 연구와 다른 연구들에 따르면 금강의 하구 수문을 만조시에 열면 바닷물과 섞이는데 시간과 수문을 조절하면 염분을 하구에서 5㎞ 정도까지만 올라가게 할 수 있다고 한다. 금강 하구를 계절별로 그리고 특정 시기에 부분 개방만 하더라도 농업용수나 공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다는 것이 연구 과정에서 밝혀졌다. 이 결과로 생각해 보면 뱀장어 치어가 금강 하구로 향하는 2~4월까지 금강 하구의 바닷물과 금강물의 수위가 같아지는 만조 때에 수문을 조절한다면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게 되고 그 만나는 시간에 뱀장어 치어가 금강에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적은 숫자의 치어가 들어오겠지만 이들이 금강을 따라 각각의 하천으로 흩어져 자라고 다시 바다로 가고 다시 치어가 금강 하구의 수문을 통해서 이동한다면 뱀장어의 숫자는 다시 늘어나게 될 것이다.

뱀장어가 금강에 돌아오면 뱀장어만 돌아오는 것이 아니다. 바닷물과 민물이 잠시 교차하고 교류하는 순간에 뱀장어, 참게, 우어 그리고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물고기와 게, 그리고 다양한 플랑크톤이 섞이게 될 것이고 금강 하구의 생물 다양성은 높아지게 될 것이다. 미국의 시애틀에서는 강으로 돌아오는 연어를 통해서 강의 건강성과 연어를 통해 얻어지는 지역경제 지속가능성을 측정한다고 한다. 금강에 뱀장어가 돌아오고 금강의 지류에서 뱀장어가 잡힌다면 금강의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것이 된다. 물고기 잡는 어부와 함께 살아가는 경제가 살아나게 될 것이다. 금강에 뱀장어가 돌아오는 것이 금강 유역의 지속 가능성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최병조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운영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