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당국은 산불 원인 상당수가 입산자 부주의 등 실화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22일 의성군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은 묘지를 정리하던 성묘객에 의한 실화로 파악됐다. 산청군의 산불 원인은 예초기에서 불꽃이 튀어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고, 김해 산불은 주민이 쓰레기 소각 과정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은 부주의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고온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피해를 키우는 양상이다.
2023년 4월 홍성 등 충청지역 곳곳에서 발생한 산불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정도로 막대한 피해를 입힌 가운데 최근 크고 작은 산불이 잇따르고 있다. 공주 우성면 내산리에서 최근 세 차례 반복적으로 발생한 산불은 방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용의자를 추적하고 있다. 산림당국은 당초 담뱃불에 의한 실화를 원인으로 추정했지만 낙엽을 모아 태운 흔적이 발견되면서 방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5~2024년) 발생한 피해면적 100ha 이상 대형 산불 32건 중 85%가 3~5월 봄철에 집중됐다. 산불 원인은 담뱃불 등 입산자 실화(32.9%), 쓰레기 및 논·밭두렁 소각(24.7%) 등 절반 이상이 사람의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각심을 갖고 조심만 해도 산불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당장은 정부와 지자체가 동시다발로 발생하는 산불 확산을 차단하고,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모든 역량을 동원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