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부권관제센터 전경./한국환경공단 광주전남제주환경본부 제공 |
이는 측정기기 운영과 관련된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하고, 대기오염물질의 정확한 감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굴뚝원격감시체계는 1998년 남부권관제센터가 최초로 구축된 이후, 2002년 전국적인 관제센터가 완비되면서 24시간 실시간 감시를 통해 대기오염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해왔다. 2024년 12월 기준, 남부권관제센터에서 관리하는 굴뚝TMS 배출구 개수는 633개로, 2021년 대비 78%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측정기기 운영 관련 문제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사업장 담당자 및 행정기관의 행정업무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FTAT는 한국환경공단, 관할 행정기관, 외부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 굴뚝자동측정기기 이상자료 발생 등으로 TMS 측정값 정상 여부의 사업장 자체 판단이 어려운 경우 사업장에서는 관할 행정기관과 공단에 TMS 이상자료 발생을 통지하고 관제센터에 긴급 기술지원을 요청하는 절차로 운영한다.
남부권관제센터는 기술지원 대상 여부 판단 및 TMS 이상자료에 대한 현장 재현성 시험 등의 신속한 현장 기술지원을 실시하고 결과서를 사업장에 통보한다.
FTAT 운영으로 불명확한 이상자료 발생에 따른 사업장과 행정기관 간의 굴뚝자동측정기기 관련 자체개선 업무가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지원이 필요한 사업장은 시스템(Stacknsky), 팩스, 이메일 등을 통해 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고호영 한국환경공단 광주전남제주환경본부장은 "FTAT 운영을 통해 사업장의 어려움을 신속히 해결하고, 굴뚝 TMS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함으로써 지역 대기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