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도청 전경<제공=경남도> |
특히 하동 섬진강재첩축제는 예비 축제 목록에서도 탈락하는 등 경남 지역 축제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2024년 11월 경남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박병영 의원은 "전국 정부 지정 문화관광축제 중 경남이 기존 2개에서 1개로 축소됐다"며 "하동 섬진강재첩축제가 예비 축제에서도 탈락한 것은 지역 축제 육성 전략이 부족했기 때문"이라 지적했다.
박 의원은 특히 타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경남도의 축제 정책 문제점을 꼬집었다.
"타 시·도는 집중적인 투자와 기획을 통해 글로벌 축제로 육성하는데, 경남은 여전히 분산 지원 방식에 머물러 있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분산 지원 방식이란 다수의 축제에 소액 예산을 나눠주는 형태로, 각 축제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대구 치맥페스티벌, 보령 머드축제 등은 지자체의 집중 투자와 체계적인 기획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반면, 경남 축제들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전국적 인지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관광정책과장은 "하동 섬진강재첩축제가 지난해 폭염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 평가 점수가 낮았다"며 "내년에는 6월로 축제 시기를 조정해 재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이런 해명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축제의 성공은 날씨와 같은 외부 요인에 좌우되지 않는 탄탄한 프로그램과 인프라, 그리고 지속적인 브랜딩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 지정 문화관광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역 축제 중 관광 상품성이 큰 축제를 선정해 지원하는 제도다.
선정되면 국비 지원과 함께 전국적인 홍보 혜택을 받게 된다.
이런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은 지역 관광 활성화와 경제적 파급효과 측면에서 큰 손실이다.
축제는 단순한 문화행사를 넘어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경남도는 이제라도 분산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축제를 선별해 집중 육성하는 전략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축제 전문 인력 양성과 장기적인 발전 계획 수립, 민간 참여 확대 등을 통해 단순한 일회성 행사가 아닌 지속 가능한 축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무엇보다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콘텐츠 개발과 디지털 마케팅 강화로 젊은 세대와 외국인 관광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축제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