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개발공사 전경<제공=인터넷 캡쳐> |
특히 통영, 남해, 진주를 대상으로 한 관광개발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마저 현장 사전조사 미흡으로 중단된 상태다.
지난해 경남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경남개발공사는 2023년 9월 4일부터 2024년 9월 2일까지 진행 예정이던 '신규 관광개발사업 전략적 발굴 및 타당성 검토 용역'을 지난 7월 9일 일시 중단했다.
용역이 중단된 주된 이유는 통영 용남면 대상지의 높은 경사도와 수목 상황 때문이라 공사 측은 설명했다.
그러나 김태규 위원은 "내가 보니 다른 이유도 있을 것 같은데, 부장님 생각은 어떻습니까?"라고 지적하며 사업 추진 의지 부족을 꼬집었다.
이어 "관광에 대한 것은 우리 사장님 이하 부장님들이 좀 더 확실한 의지를 가지고 경남 관광을 위해서 힘을 써야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관광사업부장은 "지금 통영시와 협의해서 다른 사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해명했다.
김권수 사장 역시 "민선 8기 박완수 지사님이 들어서서 국제적인 관광단지를 우리 경남에 꼭 만들어야 되겠다는 의지가 있어서 관광국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처럼 지사의 의지에 따라 부서까지 신설했음에도 실질적인 사업 성과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특히 관광개발사업의 첫 단추인 타당성 용역조차 대상지 선정 단계에서 기본적인 현장 조건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중단된 것은 사전 검토가 부실했음을 방증한다.
전문가들은 관광개발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단순히 명분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사업 대상지 선정 시 기초적인 지형과 환경 조건을 사전에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경남도의회는 경남개발공사에 구체적인 사업 추진 계획과 일정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향후 관광개발사업 추진 시 사전 타당성 검토를 강화하고, 실현 가능한 사업 모델을 발굴할 것을 주문했다.
경남도민들은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드러난 관광사업 추진 실태에 실망감을 표하고 있다.
도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기업이 실적 없이 부서만 운영하는 것은 행정 낭비이자 도민을 위한 관광 인프라 확충 기회를 놓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비판이다.
경남개발공사는 이번 지적을 계기로 관광사업부의 존재 이유를 명확히 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역 특성과 관광 트렌드를 반영한 실현 가능한 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철저한 사전 검토를 통해 더 이상 예산과 시간이 낭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