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장 점검 자료화면<제공=경남도> |
도는 농촌 지역개발 114개 지구에 5년간 총 8108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1593억 원을 투입해 농촌 주민 삶의 질을 높인다.
쾌적한 농촌환경을 조성하는 데도 힘쓸 계획이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18일 오전 11시 현장을 방문했다.
거창군 대동지구 농촌공간정비사업 등 3개 지구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현재 추진 중인 농촌지역 개발사업은 크게 두 가지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읍면 소재지에 기초생활 기반을 확충한다.
농촌공간정비사업은 난개발된 유해시설을 정비한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은 다양한 생활 서비스시설을 조성한다.
복합문화센터, 작은 목욕탕, 도서관, 공동주차장, 마을카페 등이 포함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해 필요한 시설을 구축한다.
주민역량 강화 프로그램도 함께 추진해 효율적 운영을 도모한다.
경남도는 행정복지센터와 생활서비스 시설 복합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주민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한다.
올해는 937억 원을 포함해 향후 5년간 총 4607억 원을 84개 지구에 투입한다.
농촌공간정비사업은 난개발 시설을 이전·집적화하고 공간을 재생한다.
농촌 지역에 산재된 공장, 축사 등의 시설이 대상이다.
경남도는 지난 2021년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전국 최다인 30개 지구(15개 시군)에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올해 656억 원을 포함해 5년간 3501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악취·소음·오폐수 등 문제를 일으키는 유해시설을 철거한다.
철거공간에는 주거단지, 마을공동시설 등을 조성한다.
주민들이 원하는 시설을 지어 쾌적한 생활환경으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세부 정비 대상으로는 (폐)축사 165개소, 공장 15개소, 빈집 22개소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주민 만족도를 높이고, 귀농·귀촌 유입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도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시군, 한국농어촌공사, 전문가 등이 참여해 현장점검과 컨설팅을 실시한다.
신규 사업 발굴과 사업추진 시 발생하는 문제를 적극 해결할 방침이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주민 의견을 면밀히 반영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신속히 시설이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강조했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