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준석(왼쪽) 포스텍 교수와 박유진 대학원생. |
이 연구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논문으로 현지시간으로 13일 게재됐다.
메타표면은 나노미터(머리카락 두께 약 10만분의 1) 규모의 인공 구조체를 이용해 빛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고성능 광학 센서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타표면을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난제였다. 최근 고굴절률의 나노 입자가 포함된 경화성 레진으로 도장 찍듯 패턴을 형성하는 입자 혼합형 레진 임프린트(PER-NIL)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 공정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패턴 형성 후 기판에 남는 고굴절 잔막이 빛을 산란시켜 메타표면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연구팀은 테이프라는 단순한 방법으로 이를 해결했다. 첨단 화학 공정인 플라즈마 에칭이나 스핀 코팅으로도 풀지 못했던 문제를 의외의 방식으로 풀어낸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테이프 보조 PER-NIL' 기법의 핵심은 잔막을 선택적으로 떼어낼 수 있게 테이프 접착력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다양한 접착력을 가진 테이프를 활용한 실험 끝에, 나노 구조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잔막만 효과적으로 떼어내는 최적의 조건을 찾았다. 전자현미경(SEM)과 에너지 분광 분석(EDS)에서도 이 공정이 잔막 제거에 탁월환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공정 단순화와 대량 생산 가능성이다. 기존의 복잡한 화학적 처리 없이 간단한 테이프 접착만으로 고효율 메타표면 제작할 수 있어 대량 생산에 적합한 '롤투롤(Roll-to-Roll)' 방식의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잔막이 없는 고굴절의 메타표면을 복제한 최초의 사례로 이를 통해 메타표면 기술이 실생활에 더욱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