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통약자 콜택시 통합 운영시스템./부산시 제공 |
장애인 콜택시는 2012년 도입된 비휠체어 보행상 중증장애인을 위한 바우처 콜택시로 특별교통수단을 보완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임산부 콜택시(마마콜)는 저출산 극복 대책으로 2020년 시가 전국 특·광역시 중 처음으로 도입한 임산부 바우처 콜택시다.
현재 장애인 콜택시는 자비콜 750대, 임산부 콜택시는 등대콜 2100대가 협약해 개별 운영 중이다.
시는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하고 콜택시 운영의 효율성과 최적화를 도모하기 위해 현행 개별시스템 구조를 하나로 통합 확대 운영한다.
이달 말까지 현행 개별시스템 구조를 통합해 '교통약자 콜택시 통합 운영시스템' 구축과 테스트를 완료하고 협약 택시 단체와 '교통약자 콜택시 통합 운행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협약 택시는 전체 2850대로 확대된다.
특히 배차 미수락과 지연 운행 방지 등을 위해 임산부 콜택시의 기사 콜 봉사 수수료(기사 인센티브)를 장애인 콜택시와 동일하게 500원을 기사에게 지급해 배차 성공률을 향상할 계획이다.
통합 운영 시행 전인 19일~20일에는 교통약자 친절·배려 서비스 다짐식, 택시 친절 기사 교육을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향후 통합 운영에 따른 교통약자 콜택시의 운행 추이를 분석해 예산 추가 편성할 예정이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