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도일보DB |
안동시는 이러한 바이오산업의 높은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미래 먹거리로 집중·육성하려고 그동안 우수한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과 기업 유치 등 차별화된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첨단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주목받는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 바이오생명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에 이어 기회발전특구, 바이오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에 지정되며 백신, 헴프, 천연물 등 다양한 바이오 관련 산업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하지만 안동시가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한 과제 또한 산적해 있다.
먼저, 바이오·백신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
안동시는 SK바이오사이언스 유치를 시작으로 동물세포배양 기반 백신 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며 바이오산업의 초석을 다졌다.
국제백신연구소 안동분원의 유치와 백신상용화지원센터 운영은 혁신적인 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앞으로는 기업과 연구기관의 협업을 촉진할 바이오·백신 오픈이노베이션 센터를 조기 완공해 산업 전반의 생산성과 연구력을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동 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를 조기에 조성해야 한다.
둘째, 산업용 헴프를 상용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확장해야 한다.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 자유 특구는 의료용 헴프 실증사업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며 안전성과 가능성을 입증했다.
또한 경북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가 임시허가를 승인받아 3년 연장되어 사업을 지속·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는 사업을 글로벌시장으로 확장하고 관련 법령을 정비하여 국내외 경쟁력을 갖춘 헴프 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아야 한다.
셋째, 바이오 인재 양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안동시는 바이오산업을 지속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전문 인재 양성을 중요한 과제로 삼아야 한다. 백신 관련 학과 개설 및 백신 전문인력 양성센터 설립은 필수적이며, 산학연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지역 내 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천연물 및 메디푸드 산업을 확장해야 한다.
안동은 풍부한 농업 자원과 특화된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천연물 및 메디푸드 산업을 활성화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천연물 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를 구축하고, 안동의 전통문화를 연계한 웰니스 융복합 산업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관련 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해야 한다.
국제 백신 산업 포럼과 경북바이오산업 엑스포와 같은 행사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국제적인 협력 프로젝트를 확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안동은 단순한 국내 바이오산업 중심지를 넘어 글로벌 바이오 혁신의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안동시 바이오산업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도 주목 받길 기대해 본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