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평균 통행속도를 기준으로 3단계, 20개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차 출근제 확대와 승용차 요일제 실시, 출퇴근 시간 시내버스 및 지하철 집중 배차, 무궤도 굴절 차량 시범 운영 등 추진 가능한 모든 대책이 망라돼 있다. 또한 고속도로의 도심 간선도로 활용과 교통 혼잡도에 따른 다인승 전용차로 운영도 검토하고 있다. 시민들이 이동 불편을 감수하고, 절대적인 협조가 필요한 방안이다.
트램 착공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대책의 핵심은 '교통수요 분산'이라 할 수 있다. 지난해 말 대전시의 설문조사에서 시민들은 트램 공사 기간 중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교통수요 분산'(35%)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23%)를 꼽았다.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으로는 대중교통 증편(33%), 요금지원(29%)을 들었다. 설문조사에서 자가용 이용률이 53%에 달한 가운데 교통수단을 변경하겠다는 응답은 35.3%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시민들이 트램 공사로 교통혼잡과 대중교통 이용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통수요 분산은 대중교통 이용 등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가능하다. 올해 신청액의 3분의 1 수준에 그친 트램 사업 국비는 추경 예산에 반드시 반영돼 공기 지연을 막도록 해야 한다. 공기 지연은 곧 시민 불편의 장기화를 의미한다. 시민들이 교통수요 분산에 적극 협조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국비 예산을 적시에 확보하는 정교한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