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
아카데미상을 받은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진실, An Inconvenient Truth』(2006년)로 유명한 앨 고어는 클린턴 행정부에서 부통령(1993~2001년)으로 재직했고, 2000년 미국 대선에서 조지 W. 부시에게 패했다. 이 선거는 플로리다주의 재검표 및 대법원 판결로 역사적으로도 논란거리가 많은 선거로 기록된다. 영화 '불편한 진실' 도 선거에 패배하며 결과에 승복하는 앨 고어의 심정 고백부터 시작한다. 이후 환경 운동가로서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다. 앨 고어와는 정반대의 대척점이라고도 할 수 있을 부시 대통령의 기후·환경 정책은 교토 의정서에 반대했고, 트럼프와 유사하게 화석 연료 중심으로 환경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으로 에너지독립을 강조하는 기조였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 명목으로 중동에서 전쟁을 벌일 정도의 과격함을 보였던 부시 행정부도 에너지 정책의 한 켠에는 Freedom CAR라는 하이브리드 포함 전기차 프로그램을 지원했고, 수소연료 이니셔티브 같은 기술개발로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기울였다. 부시 행정부 때 개봉된 다큐영화 '누가 전기차를 죽였는가?, Who Killed the Electric Car?'에서는 자동차업체, 석유산업, 정부의 유착 가능성과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9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의 환경규제에 GM이 개발했던 수백 대의 전기차 EV1이 시장에서 갑자기 사라진 사건에 관한 이야기다. 이런 영화나 여론의 영향인지는 확인이 안 되지만, 부시 행정부가 국가의 안정적 에너지확보와 이에 관련된 산업,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 사이의 균형 감각은 아주 없진 않았던 것 같다. 2001년 9.11테러 미 의회에서 "테러와의 전쟁, War on Terror" 연설로 국민들의 단합을 이끌기도 하고, 이라크 전쟁과 경제정책으로 지지율이 떨어지기도 했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부시 행정부의 국정운영은 평균점은 되는 모양이다. 오바마 행정부가 보여준 에너지·기후 정책의 균형감은 "미래세대에 세상을 물려줄 책임"이라는 오바마의 말에 온전하게 담겨있고, 그는 가장 인기 있는 미 대통령 중에 한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말은 "Drill, baby, drill"로 보면 무진장의 화석연료인가 싶고, 힐러리에게 비아냥거렸던 "Sounds good, doesn't work"는 무례를 벗어난다. 사회적으로 상식의 관용 정도가 다를 수 있지만, 거기나 우리나 요즘의 위정자들과 그 지지자들에게는 별도의 기준이 있는 건지 의문스러울 때가 많아진다. /김성수 충남대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