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좌.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황선호 디지털혁신추진단장 우.코레일 박채옥 철도연구원장/사진=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제공 |
진흥원은 6일 코레일 대전사옥에서 '지역 도심 융합기술 연구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시행되는 이번 사업은 양 기관이 대전 도심융합 특구를 중심으로 한 교통, 에너지 기술 혁신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진흥원은 2029년까지 총 84억 2만 5675원을 투입해 대전 도심의 교통, 에너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디지털 허브'를 구축한다. 이 사업에는 ㈜유클리드소프트, ㈜에프에스, ㈜모라이 등의 지역 기업들도 참여한다.
코레일은 'AI기반 보행자 중심 교통이용 예측 시스템' 개발을 지원해 대전역 이용객의 이동 패턴을 분석해 혼잡도를 예측하고, 이를 마스(MasS)와 도심항공교통(UAM) 연계에 활용할 계획이다.
대전 도심융합 특구는 KTX 대전역과 옛 충남도청사 일원 등 134만㎡ 규모로, 이번 사업을 통해 에너지 효율화 시스템도 함께 구축된다. 여러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통합 관리하고 상호 공유함으로써 도시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진흥원의 황선호 디지털혁신추진단장은 "대전도심융합특구의 주요 과제인 신교통 서비스 기술개발을 위해 코레일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도시 혁신의 성공적 사례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코레일 박채옥 철도연구원장은 "철도 인프라와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등 연구 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실증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대선 도심융합 특구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주혜 기자 nankjh7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