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혜란 의원(5분발언)<제공=창원시의회> |
김 의원은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해 아동 양육 지원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창원시의 출산율 반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실질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가족수당' 도입으로 경제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현재 출산 후 2년간 지급하는 '부모급여'를 만 8세까지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불필요한 예산 중복을 줄여 효율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은 "지난해 창원시의 출산·육아 관련 예산 집행액은 약 2948억 원이지만 간접 지원이나 전시성·이벤트성 사업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불필요한 청년 사업을 통폐합해야 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전담 부서 신설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각 부서가 중복 사업을 나열식으로 추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결혼·출산·육아·교육까지 통합 지원하는 부서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김 의원은 "양육 정책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핵심 투자"라며 "새로운 시책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