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성군농업기술센터. |
6일 군 농업기술센터는 웃거름 시기와 방법, 냉해와 습해 대비, 주요 병해충 방제법 등 봄철 마늘·양파 재배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농기센터에 따르면 웃거름(추비)의 시기와 양은 작물의 생육과 수량은 물론 저장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월동 후 1차 웃거름은 뿌리 활동이 재개되는 생육 재생기인 2월 중순부터 하순까지, 2차 웃거름은 3월 중하순까지 완료해야 저장 중 부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요소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늦게까지 주면 생리 이상으로 구 비대가 불량해지고 저장력이 약해져 상품성이 떨어진다.
또 생육 중 2차 생장(벌마늘) 발생 원인이 되므로 늦어도 3월 하순까지는 시비를 마쳐야 한다.
비료 효율을 높이려면 고형비료를 직접 살포하는 대신 물에 녹여 물비료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냉해와 습해 대비도 중요하다.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냉해를 입거나 서릿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비닐 위에 흙을 덮어주고, 솟구쳐 올라온 포기는 즉시 땅에 눌러주어야 한다.
비가 많이 내려 고랑에 물이 고이면 병 발생이 증가하므로 배수구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병해충 관리도 필수적이다.
이어짓기(연작) 재배지에서 많이 발생하는 노균병은 관수와 배수 관리에 유의하고 질소질비료를 줄이며 적용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잎집썩음병(춘부병)은 동제(구리성분)나 항생제로 예방이 가능하다.
또 봄철 대표 해충인 총채벌레는 방제가 어려워 점착트랩을 설치해 발생 밀도를 예찰하고, 개체수가 급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고자리파리는 뿌리나 인경을 가해하므로 피해포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등록약제를 토양 및 지상부에 충분히 처리해야 한다.
농기센터 관계자는 "마늘·양파 월동 후 웃거름 주기, 온·습도관리, 병해충관리를 철저히 해 고품질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음성=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