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일이 만난 사람]한재현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

  • 사람들
  • 뉴스

[한성일이 만난 사람]한재현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

중국 경제 관련 네번째 저서 <중국금융론> 발간
한국은행 최고의 중국경제통으로서 중국 경제와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대해 전망하다

  • 승인 2025-03-05 15:25
  • 신문게재 2025-03-06 7면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상하이5 (1)
중국 상해 동방명주를 배경으로 한재현 한국은행 상하이 소장.
한국은행 최고의 중국 경제통으로 알려진 대전이 낳은 인재 한재현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이 중국 경제 관련 네 번째 저서인 <중국금융론>을 펴내 화제다.

서울대 경영학과와 행정대학원 졸업 후 한국은행에 입행했을 때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으로 유학을 보내줘 다시 금융학으로 석사를 하고 한양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받아 한국은행에서 가장 중국 경제 전문가로 통하는 한재현 소장은 한국은행 북경지점 과장으로 부임했던 기간에도 <쉽게 배우는 중국 경제>와 <중국경제산책-중국경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전망> 등 중국 경제 관련 저서를 발간했다. 2년 전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으로 부임해서도 <중국, 마오타이와 알리바바의 나라>에 이어 이번에 <중국금융론> 을 발간했다. 잠시도 쉬지 않고 끊임없이 중국 경제에 대해 연구하고 공부하면서 한국은행 상하이 소장으로서 최선을 다해 열정적으로 일하고 있는 한재현 소장으로부터 이번 책 <쉽게 읽는 중국 금융이야기 -중국금융론>에 대한 이야기와 중국 경제와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전망을 들어보았다.

52647140148.20250126072640
-한 소장님, 중국 경제 관련 네 번 째 저서로 이번에 <중국금융론> 책을 발간하셨는데요. 발간 소감이 어떠신지요.

▲저는 지난 몇 년간 중국경제에 대한 책을 세 권 출간하였습니다. 중국의 여러 가지 모습 중 그나마 조금 안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인 중국경제를 주제로 이야기하고 싶은 욕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대학생과 전문가를 위한 교과서에서 일반인들을 위한 에세이까지 제가 중국경제에 대해 공부하고 알게 된 것들을 많은 독자들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책 출간 이후 여기저기 강연 기회가 있었고, 또한 TV 출연(EBS 클래스e)을 통해 다수의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시간도 누렸습니다. 저에게는 귀중한 경험과 값진 배움의 시간이었지요.



이전의 책들이 중국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추는 안내서였다면 이번에는 조금 더 범위를 좁혀 중국의 금융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미국에 이어 글로벌 G2로 성장한 중국경제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기 어려울 겁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실물 부문에 한정된 이야기입니다. 국가 경제의 핏줄 역할을 수행하는 금융 부문은 어떨까요? 아직도 상당 부분 폐쇄적인 금융시장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경제에서 과연 금융제도와 금융시장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또한 무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이렇게 미흡한 금융 시장과 경직적인 금융제도를 유지하는 한 중국경제는 앞으로 지속적인 발전은커녕 오히려 퇴보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요? 이런 여러 가지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의 하나로 이 책을 쓰게 되었습니다.

동방명주가 보이는 식당에서
동방명주가 보이는 식당에서 한재현 한국은행 상하이 소장.
-한 소장님, 구체적으로 이번 책이 타깃으로 하는 독자층을 알 수 있을까요? 이 책은 어떤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으신지요.

▲구체적으로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중국 금융시장에 현재 투자하고 있는 투자자와 앞으로 투자하고자 하는 생각이 있는 분들입니다. 둘째, 중국경제 관련 뉴스에 종종 나오는 금융 관련 용어가 어려워서 이해가 잘 안 되었던 분들입니다. 셋째, 중국의 금융 제도와 금융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혀서 중국경제의 메커니즘을 좀 더 잘 파악하고 중국 관련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분들입니다. 마지막으로, 지적 호기심이 충만하여 중국경제와 금융에 대해 다양하고 잡다한 사실들을 알고 이해하면서 즐거움을 누리고 싶은 분들입니다.

sunny
-한 소장님. 이 책의 구성에 대해 소개해주실까요?

▲이 책은 다음의 여섯 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 '금융제도 및 금융시장 개관'에서는 1979년 개혁 개방 이후 현재까지 중국 금융제도와 금융시장의 변화 과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2장 '중앙은행과 금융감독'에서는 중국의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과 함께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등 복수의 금융감독기구를 소개하고 기능과 특징을 설명하였습니다.

3장 '은행제도'에서는 중국 금융제도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은행제도의 발전 과정과 특징, 한계 등을 소개하였습니다.

4장 '주식제도'에서는 자본주의의 꽃으로 불리는 주식제도가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특징은 무엇인지, 중국 주식시장에 투자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등을 서술하였습니다.

5장 '금융 관련 지표 및 용어'에서는 환율, 금리 등 주요 금융 관련 경제지표가 중국 금융시장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우리나라와 비교해서 어떤 차이점과 특징이 있는지 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6장 '중국 금융의 미래'에서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빅테크 등 급변하고 있는 중국 금융제도와 시장의 모습을 소개하고,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패권을 차지하려고 노력 중인 중국의 야심과 한계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인민은행 주최 행사에서
중국의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 주최 행사에서 한재현 상하이 사무소장
이 책은 또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각 장 주제와 관련된 구체적인 질문을 하고 이에 답변하는 형식으로 서술하였습니다. 이는 관심 있는 주제 내지 질문만 선별적으로 읽어도 충분하다는 의미입니다.

책의 곳곳에 '쉬어가는 코너'를 두었는데요, 이는 중국과 중국경제에 대해 제가 느끼고 경험했던 다양한 주제의 글 모음입니다.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으로 근무하면서 중국 제2의 도시이자 최고의 금융중심지에서 느낀 상하이의 이모저모도 함께 소개하였습니다.

상하이 HSBC 빌딩 (1)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실이 있는 상하이 HSBC 빌딩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으로 근무하신 지 이제 2년이 되었습니다. 소회가 어떠신지요?

▲상하이는 중국 제2의 도시이자 최고의 금융중심지입니다. 저는 2023년 3월부터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으로 근무하면서 상하이의 이모저모를 다양하게 경험하고 있습니다. 제가 상하이에서 느낀 인상을 한 마디로 말한다면 상하이는 그야말로 중국 도시 중 가장 극단에 있는 도시라는 점입니다. 기후, 인프라, 소득수준, 문화 수준 등 거의 모든 지표에서 중국 최정점에 있지요.

인상적이었던 점 중 하나는 커피입니다. 세계 최대의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 기업인 '스타벅스(Starbucks)'가 중국에 처음 진출한 것은 1999년 1월이었습니다. 베이징이었지요. 스타벅스가 서울에 최초 등장한 것이 1999년 7월이었으니 우리보다 약 6개월 이른 셈입니다. 당시만 해도 중국인들에게 커피는 낯선 음료였습니다. 중국은 원래 '차(茶)'의 나라였으니까요. 제가 2006년∼2011년에 베이징에서 생활할 때의 기억을 떠올려 봐도 커피는 중국인들이 그리 흔하게 마시는 음료가 아니었습니다. 젊은이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러나 중국경제가 글로벌경제에 본격적으로 편입되고 또 해외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는 중국인 학생들이 증가하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중국인들의 커피 수요가 급증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젊은 층의 커피 선호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상하이 동방명주 (2)
상하이 동방명주
이런 중국 커피시장의 변화는 스타벅스의 급성장이 대변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2014년 이후 미국에 이어 스타벅스 제2의 시장으로 부상하게 됩니다. 2024년 말 현재 스타벅스의 중국 매장 수는 7,300개를 돌파하였는데요. 이는 미국 다음으로 많은 숫자입니다. 특히 상하이는 2022년 9월 세계 최초로 스타벅스 매장 수가 천 개를 돌파한 도시가 되었습니다. 상하이에는 스타벅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커피전문점이 많습니다. 커피전문점 수가 8,500여 개를 넘고 있는데요. 이는 상하이 다음으로 커피전문점이 많은 도시인 베이징이나 광저우가 4000∼5000개 수준인 점을 감안한다면 상하이가 얼마나 커피에 열심인 도시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상하이 와이탄 마천루 (2)
상하이 와이탄 마천루
-한 소장님, 2025년도 중국경제 전망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 2024년도 중국경제성장률은 5.0%를 기록하였습니다. 비교적 선방한 수치였지요. 그러나 중국경제는 성장세가 하락하는 동시에, 그동안의 경제성장 과정에서 초래된 구조적 리스크 요인들의 위험성이 확대되며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중국산 모든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대중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앞으로 트럼프 2기 정부의 대중 압력 정책이 어느 방향에서 어떻게 전개될지도 매우 불확실합니다.

결국 2025년 중국경제 성장세는 미국의 추가 대중압력 조치 범위와 강도,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정책 규모와 효과, 부동산시장의 회복 여부, 소비자 신뢰 회복 여부 등에 좌우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쉽지는 않은 상황인 것이 확실합니다.

상하이 야경 (3)
상하이 야경




상하이2
상하이 야경


상하이4
상하이 전경
상하이 동방명주 (2)
상하이 동방명주


판다인형 모음
판다의 나라 중국 상하이의 판다 숍에 있는 인형들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요?

▲ 2025년에도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반중(反中), 혐중(嫌中) 정서가 확산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가 중국을 바라보는 시각도 예전 같지 않지요. 다만, 안타까운 것은 이러한 현상이 무지에서 혹은 잘못된 정보로 인한 오해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많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중국에 대해 얻는 정보 통로가 상당히 제한되어 있고 그나마도 혹세무민의 선동가들에게 휘둘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점이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주요 원인의 하나라고 하겠습니다. 현명한 판단과 냉철한 현실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은 최대 한 달까지 비자 없이 중국을 여행할 수 있습니다(2025년 말까지). 최근 상하이를 비롯해 중국 주요 관광지에 한국인 여행객이 급증한 것은 비자 면제 조치의 효과가 크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또 중국인들의 한국 여행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023년 181만 명에 그쳤던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2024년에는 460만 명까지 증가하였지요. 양국 간 교류가 증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입니다. 만나고 경험해 봐야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지사일 겁니다. 비슷한 근현대사의 아픔을 공유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의 국민들이 서로 도우면서 함께 번영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책을 읽지 않는 시대라고 합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온라인 동영상 시청이 충족시켜 줄 수 없는 만족감과 기쁨과 지적 자극을 준다는 점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위로서 독서의 가치는 여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약간의 정보와 함께 재미와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독자 여러분들에게 기억이 될 만한 추억과 뿌듯함을 함께 남길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기도의 모범이 되시는 부모님과 장모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사랑스럽고 총명하며 유머 감각이 풍부한 아내 문선에게 항상 고맙다는 말을 꼭 하고 싶습니다.


대담, 정리 한성일 편집위원(국장) hansung007@



중국금융론1


9791130308708


9791130312736


9788963222011


-책의 목차

CHAPTER 01 금융제도 및 금융시장 개관

01 1979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금융제도는 어떤 변화과정을 겪어 왔는지요? 4

쉬어가는 코너

- 상하이(上海) 별칭과 발전과정 11

02 중국 금융시장의 특징으로는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22

03 중국경제에서 금융업이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은 어느 정도인가요? 28



CHAPTER 02 중앙은행과 금융감독

01 중국의 금융감독 체제는 어떻게 변화되어 왔나요? 34

쉬어가는 코너

- 중국금융 관련 주요 기관 및 홈페이지 소개 39

02 2023년 금융감독기구 개편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지요? 42

쉬어가는 코너

- ○○이 없는 나라 중국 46

03 인민은행의 성격과 역할은 다른 나라 중앙은행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나요? 51

04 인민은행의 간단한 역사를 알고 싶습니다. 55

05 인민은행의 조직 구조상 특징으로는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60



CHAPTER 03 은행제도

01 중국 은행제도의 성립과 발전 과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68

쉬어가는 코너

- 금융도시 상하이 73

02 중국 은행제도의 핵심이라고 하는 국유상업은행(State-Owned Commercial Banks)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79

03 주식제상업은행(Joint-stock Commercial Banks)은 어떤 은행들을 지칭하나요? 88

04 우리에게는 조금 낯선 도시상업은행(Urban Commercial Banks)이란 무엇인지요? 97

05 농촌상업은행(Rural Commercial Banks)과 도시상업은행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104

쉬어가는 코너

- 중국의 독서 문화와 서점 110

06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 민영은행(Private Banks)이 존재하나요? 117

07 중국 은행업에서 눈여겨봐야 할 은행으로는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121



CHAPTER 04 주식제도

01 중국에서 주식시장은 어떻게 성립하고 발전하게 되었는지요? 130

쉬어가는 코너

- 부패 문제 137

02 중국에서 주식시장 감독기관은 어디인가요? 142

03 중국의 주식거래소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146

04 중국 주식에 대해 이야기할 때, A주, B주, H주 등의 용어들이 나오던데요, 각각 무엇을 의미하나요? 154

쉬어가는 코너

- 음식배달 천국 중국160

05 중국 주식시장 특징은 무엇인가요? - (1) 국유기업 중심의 상장기업 구성 166

06 중국 주식시장 특징은 무엇인가요? - (2) 주식시장의 비개방 170

07 중국 주식시장 특징은 무엇인가요? - (3) 높은 개인투자자 비중과 미흡한 기관투자자의 역할 178

쉬어가는 코너

- 상인의 나라 중국 181

08 중국의 주요 주가지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1) - 상하이 거래소 186

09 중국의 주요 주가지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 - 션전 거래소 191

10 상하이 션전 베이징 증권거래소 이외에 주요 금융거래소로는 무엇이 있나요? 196

쉬어가는 코너

- 커피의 도시 상하이 204

11 중국 주식시장에서는 기업의 주식 발행 절차가 복잡하며 어렵다고 하던데요? 210

12 중국 주식시장에서는 상장폐지(delisting) 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들었습니다. 실제상황은 어떤가요? 214

13 중국 주식시장에서의 거래 시간과 비용을 알고 싶습니다. 218

14 중국 주식투자와 관련하여 유의해야 할 사항에는 무엇이 있나요? 222

15 중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요 기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1) - 총괄 225

16 중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요 기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 - 백주(白酒) 기업 228

쉬어가는 코너

- 중국 술 백주(白酒)의 생존을 위한 노력 237

17 중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요 기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3) - 금융기업 243

18 중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요 기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 IT 제조기업 252

쉬어가는 코너

- 친환경 자동차정책의 도시 상하이 262



CHAPTER 05 금융관련 지표 및 용어

01 중국의 환율제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70

02 외화자금의 조달 통제를 통한 위안화 환율 조정 제도란 무엇인지요? 275

03 위안화의 국제화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요? 278

04 디지털 위안화란 무엇이며 얼마나 널리 사용되고 있는지요? 285

05 중국 금융시장에서 눈 여겨 봐야 할 금리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 - Shibor 292

쉬어가는 코너

- 건축의 도시 상하이 295

06 중국 금융시장에서 눈 여겨 봐야 할 금리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2) - LPR 301

쉬어가는 코너

- 차등대우와 차별이 당연시 되는 나라? 308

07 통화량(M2)이나 대출규모 이외에 중국에서만 사용되는 유동성 지표가 있던데요? 312

08 중국에서는 금리보다 지급준비율 조정을 통해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는 사례가 많다고 들었는데요, 어떤 상황입니까? 316

09 판다본드(Panda bond)와 딤섬본드(Dimsum bond)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320

쉬어가는 코너

- 판다의 나라 324



CHAPTER 06 중국 금융의 미래

01 중국의 디지털금융 부문 발전 상황은 어느 정도인지요? 334

쉬어가는 코너

- 중국어의 세계 341

02 정보통신기술과 금융이 결합하면서 파생된 용어에는 무엇이 있고, 현재 중국은 어떤 상황인지요? 346

03 중국 빅테크 기업의 빠른 성장배경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350

04 한창 잘 나가던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최근 위기를 겪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요? 354

05 중국의 주요 빅테크 기업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1) - 텐센트(??, Tencent) 361

06 중국의 주요 빅테크 기업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2) - 알리바바(阿里巴巴, Alibaba) 365

쉬어가는 코너

- 중국에서의 MBTI 열풍 372

07 중국의 주요 빅테크 기업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3) - 바이두(百度, Baidu) 376

08 중국의 주요 빅테크 기업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4) - 징둥(京東, J.D.com) 380



참고문헌 385

이미치 출처 388

ENDNOTES 395

색인 411



한재현
-한재현 소장은 누구?

▲1969년 대전 출생. 서대전고 졸업.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 석사)을 졸업한 후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교 대학원(경제학 석사)를 거쳐 한양대학교 대학원(경제학 박사)를 졸업했다.

한국은행 기획국, 은행국, 베이징사무소 등에서 근무했고, 한국은행 조사국 중국경제팀장을 5년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로는 《쉽게 배우는 중국경제(2020년)》,《중국경제산책-중국경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전망》(2021년),《중국, 마오타이와 알리바바의 나라》(2023년), 중국금융론(2025년) 등이 있다.

1988년 서대전고등학교 졸업. 1992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경영학사). 1994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 석사). 2008년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교 금융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2019년 한양대학교 대학원 졸업(경제학 박사).

1999년 한국은행 입행. 2004년까지 한국은행 기획국, 총무국 조사역. 2015년까지 한국은행 은행국, 북경사무소, 조사국 과장. 2016년까지 기획재정부 파견. 2022년까지 한국은행 조사국, 전북본부 팀장. 2023년부터 한국은행 상하이 사무소장으로 재직 중.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