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채성 의장이 3월 5일 제9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시의회 제공. |
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평생교육·정책연구원'이란 새 명칭의 소속기관 출범을 준비해왔으나 번번이 제동에 걸렸다. 앞선 제96회 임시회에선 상임위(행정복지위원회) 의결에 따라 본회의 상정이 좌절된 바 있다.
이를 두고 집행부와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시의회가 다시금 맞불었고, 지난해 인사청문회 도입부터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 무산까지 빈번한 갈등 구도를 다시 연출했다.
임채성 세종시의회 의장은 이날 오전 열린 제9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세종평생교육·정책연구원 설립 및 운영 조례안'과 '평생교육 진흥 조례 일부 개정 조례안' 등 모두 2건을 직권 상정했다.
그는 모두 발언에서 "행정복지위원회의 심도 있는 결정이 있었으나 대전시가 (이달 중)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세종을 제외한 독자적인 연구기관 설립에 나섰다"라며 시급성을 인정하며, "지난해 의회와 집행부의 갈등으로 시민에게 심려를 끼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직권에 의해) 본회의 안건으로 상정하게 됐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여·야 시의원 전원(20명)은 이의 없이 만장일치 의결을 했다. 임 의장이 최민호 시장의 직권 상정 제안을 전격 수용한 결실을 맺었다. 최 시장은 그동안 기자회견 등을 통해 통합 기관 출범의 시급성을 지속적으로 역설해왔다. 민주당 일부 의원들도 더는 반대 의견을 내지 못하고 협치에 한 뜻을 모았다.
![]() |
세종 연구실과 인재평생교육진흥원은 오는 9월 통합 기관으로 새 출발한다. 사진=양 기관 누리집 갈무리. |
향후 통합 기능은 ▲인재평생교육진흥원 : 해외 유학과 기부문화 관리, 외국어 역량 강화, 장학지원, 부모교육, 시민대학, 평생학습도시 육성, 장애인 및 읍면 평생교육, 청년 꿈 키움, 문화도시 조성 지원, 공직자 교육 ▲세종연구실 : 도시 공간과 사회, 환경 연구 ▲세종시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행정수도 위상 강화 뒷받침) 및 지역학센터 등으로 요약된다.
이를 통해 세종시 중장기 발전계획과 주요 정책 등의 조사·연구 및 타당성 검토를 활성화하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장학생 선발, 시민 교육 강화 등에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2025년 통합 예산 규모는 양 기관의 기본 재산 113억 원에 연구실 14억 원과 진흥원 16억 원, 통합 비용 5억 원 등의 35억 원을 포함한 148억 원으로 산정했다. 신임 원장은 공모를 거쳐 위촉하게 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