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시에 따르면 2025년 3월 열리는 제278회 천안시의회 임시회에 '천안역 동부광장 보상업무 공공위탁 동의안'을 상정키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천안역사 완공 시기와 발맞춰 환승시설을 적기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빠른 시일 내 보상절차가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주변에는 노후화된 상가 시설이 많아 임대차와 같은 권리관계가 복잡할 것으로 예상돼 체계적인 업무추진으로 불필요한 민원을 사전에 예방하고, 형평성 제고 및 보상 기간 단축을 꾀하고 있다.
현재 사업부지는 면적 7638㎡(47필지)은 국유지:시유지:한국철도공사:민간=9.3:1.7:42.0:47.0 비율로 민간이 절반가량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산정 기준 보상비는 450억, 2024년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공시지가 기준 446억을 산정했으며, 위탁비용은 보상비의 4.9%로 22여억원 정도가 예상되고 있다.
시가 이 같은 결정을 한 이유는 자체수행하게 될 경우 전문성이 결여되고, 공정성과 중립성 확립이 불가하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돈이 걸린 문제기 때문에 보상절차에서 토지주 등 민간인들이 원활한 사업진행을 위한 협조를 할지는 의문으로 남아있다.
건설도시위원회 권오중 위원은 "천안역 증개축과 맞물려 원도심이 발전하려면 동부광장이 함께 조성돼야 한다"며 "보상이라는 게 100%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긴 쉽지 않아 어려움이 예상되는 건 사실"이라고 했다.
시 관계자는 "협의매수가 되지 않으면 수용절차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보상기간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없다"며 "그렇지만 순조롭게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천안역사 증개축 사업은 비용 상승과 시공 난이도 등의 이유로 응찰자가 나타나지 않아 4차례 유찰됐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