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금강자연휴양림' 폐원 가닥...3가지 대안 실효성은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금강자연휴양림' 폐원 가닥...3가지 대안 실효성은

[연속 보도] 지난해부터 국립자연사박물관과 대통령 집무실 이전론 솔솔
육사 이전 제안도 나와...충남도·세종시, 민자 유치 난맥상 돌파구 주목
결국 탄핵 정국 아래 관건은 정부와 여·야 정치권 의지의 문제

  • 승인 2025-03-04 15:05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304_145415737
사진 위쪽은 서울 청와대 전경, 아랫쪽은 세종시 산림자원연구소 전경. 사진=이희택 기자.
세종시 세종동(S-1생활권) 중앙녹지공간보다 넓은 391.5ha 면적의 금남면 소재 '충남 산림자원연구소'. 시기를 특정할 수 없으나 충남 청양군으로 이전이 확정되면서, 이 곳 부지 활용안이 최대 난제로 부각되고 있다.

충남도는 1994년 옛 연기군 금남면에 중부권 최대 규모의 산림자원연구소 설치 후 2012년 세종시 출범 이후로도 명맥을 유지해왔으나 2025년 7월 폐원에 이어 이전 수순을 밟고 있다.

세부 시설로는 ▲1150종을 갖춘 금강수목원(61.5ha) ▲숲속의집 7동 12실 등의 금강자연휴양림(184ha) ▲야생화원 196종(1.1ha) ▲산림박물관 5개 전시실(3173㎡) ▲339종의 열대 온실(1685㎡) ▲홍교 등 연못(4310㎡) ▲창연정(118㎡) ▲동물마을 4동 5개소(7076㎡) ▲맨발 걷기장(편도 400m) 등으로 요약된다.

세종시민을 넘어 전 국민이 자주 찾는 시설이자 지역 유일의 휴양림이 4개월 뒤 문을 닫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앞으로 활용안 마련이 시급한 숙제로 등장했다. 실제 지난해 한국관광공사의 관광데이터랩 통계를 보면, 산림자원연구소 검색 건수는 티맵 네비게이션 기준 2만 1323건 이상으로 집계됐다. 내외부 방문객 TOP 20위권에 속하는 수치다. 방문객 수만 놓고 보면, 부동의 1위 국립세종수목원과 함께 3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세종시에선 시민사회부터 공직사회까지 다양한 아이디어와 제언이 흘러나오고 있다.

2012년 세종시로 입지만 확정하고 표류 중인 '국립자연사박물관'부터 2027년 하반기 건립을 앞둔 '대통령 집무실',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한 '테마파크 또는 골프&리조트 또는 호텔·마이스(MICE) 시설', 최근 토론회에선 '육관사관학교 이전 입지' 등에 이르끼까지 폭넓은 얘기가 오가고 있다.

청벽산과 금강을 끼고 있는 배산임수의 지형인데다 신도시에선 불티교가 유일한 접근로란 지형적 특성이 고려된 의견들이다. 금남면 영곡리 고개를 넘어 돌아오는 길이 두 번째 루트다.

충남도와 세종시가 함께 대응 중인 '민자 유치·매각' 방식의 성사 가능성은 최근 경제 상황과 매각 비용 추정치(5000억 원 이상)로 볼 때, 실현 가능성은 낮은 상황. 민간 투자가 다양한 산림 자원부터 전시·체험·숙박 시설들에 이르기까지 공적 가치를 떨어트릴 수 있다는 우려도 교차한다.

2025022701002239600090612
국립박물관단지 2구역에는 우선 국립민속박물관이 들어설 에정으로, 국립자연사박물관이 들어가기엔 부족한 규모로 분석된다. 사진=행복청 제공.
국립자연사박물관의 경우, 산림자원연구소의 입지 특성 및 콘셉트와도 잘 맞아 떨어진다는 판단 때문에 제안된 바 있다. 현재 세종동 국립박물관단지 2단계 입지에 들어오기 어려운 규모인 데다 사업비도 3000억 원~4000억 원 대 이상으로 산림자원연 사업비를 상쇄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이어진다. 다만 정부가 12년째 자연사박물관을 예비타당성 검토 대상에도 올리지 않고 있는 건 현실화 가능성을 낮추는 대목이다. 주요 선진국 중 자연사박물관이 없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나 상황은 이렇다.

탄핵 정국 아래 새롭게 등장한 대안이 바로 '대통령실 이전 카드'다.

기존의 세종동(S-1생활권)에 이미 총리 공관이 자리 잡고 있고, 국회 세종의사당부터 디지털미디어단지 및 국회의장 공관 등의 기능이 차례로 검토되고 있는 만큼, 대통령실은 모든 국가 기능이 쏠린 세종동 대신 금남면 청벽산 자락에 더 어울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한다. 예산 규모 자체가 용산 대통령실의 완전한 이전 여부에 따라 4000억 원 이상을 넘어설 수 있는 만큼, 국가적으로, 충남도·세종시 입장에서도 일석이조다.

대통령실 입지 규모는 관저와 경호, 비서실, 지원시설 등의 기본 기능을 토대로 약 15만㎡로 산정되고 있고, 총사업비는 현재 기준 3836억 원으로 예상된다. 용산의 1/3 규모로 보면 된다.

시의 한 관계자는 "유사 시 불티교를 끊어 대응할 수 있어 보안상 좋고, 지형적으로도 대통령실과 어울릴 수 있는 곳이라 본다"라며 "금강자연휴양림 매각에 난항을 겪고 있는 양 지역 입장에서도 일타일피의 전략"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또 다른 일각에선 육군사관학교 이전의 최적지란 의견도 내놓고 있다. 육사 내부적으로 논산시보다 세종시를 선호하고 있는 점도 고려한 부분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행정수도
육사의 세종시 이전론은 최기일 상지대 군사학과 교수가 2월 18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 방안과 과제' 토론회에서 꺼내 들었다. 사진=토론회 자료집 갈무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2. 2025 자전거 타고 '행복도시 명소' 투어....4월 26일 열린다
  3. [박현경골프아카데미]백스윙 어깨 골반 회전! 당기서, 누르고, 돌려주세요
  4.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매각부지 활용안 찾는다
  5. 천안검찰, 2만5000원에 롤 계정판매 사기 혐의 '벌금 50만원' 구형
  1. 세종 아파트값 1년 5개월만에 상승 전환…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 향후 상승 관측
  2. 대전교통공사, 장애인의날 교통약자이동지원차량 무료운행
  3. 세종충남대병원 서정호 교수, 학대예방경찰관 대상 교육 실시
  4. 대전경찰청-카이스트, 청소년 사이버 도박 예방 협약 체결
  5. 황창선 대전경찰청장 기동순찰대 현장간담회…직원 노고 격려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집권 시 일단 용산 대통령실을 집무실로 쓸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음 단계로는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는 개헌을 전제로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뜨거운 화두로 오른 가운데 그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으로 주목된다. 이 후보는 18일 오후 MBC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나와 '만일 당선되면 대선 직후 대통령 집무를 어디로 시작할 것이냐'는 김경수 경선 후..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국토교통부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기존보다 쉽게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정을 조정한다.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무허가 건축물을 포함하고, 재건축진단(옛 안전진단)은 세부평가 항목을 늘려 노후 아파트의 재건축 문턱을 낮추는 게 골자다. 대전에서도 노후아파트 재건축 추진 움직임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관련 절차 진행에도 활로가 뚫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시행령' 하위법령 개정안을 18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재건축진단 기준' 하..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가 저출산과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 속 전국에서 유일하게 결혼과 출산 지표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 기업유치 및 다양한 청년 우선 정책이 빛을 발한 것으로풀이된다. 대전시에 따르면 과거의 대전은 교통과 주거 등 인프라 측면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가 짙었다. 그러나 지금 대전은 행정당국의 '기업 유치-대전 정착-결혼-육아-노인 복지'로 선순환 정책이 자리를 잡으면서 청년 세대에게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했다. 대전 청년 정책의 효과는 통계 지표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통계청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 감염병 예방 위한 집중 방역 감염병 예방 위한 집중 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