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덕섭 고창군수(오른쪽 안)가 지난달 27일 이희완 국가보훈처 차관(왼쪽)과 면담하고 독립운동 서훈신청서를 전달하고 있다. /고창군 제공 |
고창군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국가 보훈부가 고창 고등보통학교 재 학생 이었던 윤욱하 선생 등 6명을 '106주년 3.1절 계기 독립유공자 서훈 대상자'로 확정했다. 이에따라 고창군 전체의 국가유공자는 기존 102명에서 108명으로 늘게 됐다.
윤욱하 선생은 1929년 6월경 전북 고창 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조선인 교사 유임을 요구하는 동맹휴학에 참여하다 무기정학 처분을 받고 체포됐다. 이듬해(1930년) 1월에는 고창 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해 학우들과 함께 독립 만세운동을 계획하다 체포됐다.
![]() |
독립유공자 서훈이 확정된 윤욱하 선생 관련 동아일보 1929년 6월 27일자 기사 내용. /고창군 제공 |
선생과 함께 1929~1930년 고창 고등보통학교 동맹휴학 및 독립 만세운동을 한 박재우, 양회영, 윤선호, 이영규, 조순옥 선생 역시 이번 계기 대통령 표창에 서훈됐다.
앞서 심덕섭 고창군수는 '기억과 존중의 보훈 문화 확산 기반 마련'을 최우선 공약사업으로 정하고 지역 내 독립유공자 찾기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순수 군비로 용역을 진행했으며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국립중앙도서관, 외교사료관 등의 소장자료와 일제강점기 당시 판결문, 수형인명부, 학적부 등의 자료를 샅샅이 찾아 211명의 명단을 확인했다. 이후 국가 보훈부 심사 기준에 따라 103명의 서훈 신청서를 작성하고, 심덕섭 군수가 직접 국가 보훈부에 찾아가 신청서를 전달했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우리 지역의 독립운동 역사를 재조명하고 숨은 독립운동가들의 공적을 찾아내 예우를 다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