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영철 대전시 녹지농생명국장 |
학교 급식의 첫 출발은 무엇일까? 좋은 재료가 좋은 음식을 만들 듯 양질의 재료를 엄선하는 일이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시작되기 시작할 무렵인 1981년도에 학교급식법이 제정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서류 및 현장 심사 후 2~3개의 적격업체를 선정한 후 입찰하는 지명경쟁입찰 방식이었다. 우수한 식재료를 선정할 수 있었으나 학교 업무 과중과 납품업체 유착 등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개선책으로 투명성을 높인 일반경쟁입찰, 비대면 전자 입찰시스템을 도입하였지만, 공급업체 난립으로 부실 식재료 납품으로 이어졌다.
부실한 학교 급식 및 납품 비리는 큰 사회적 파장을 불렀고 안전한 식자재 공급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우수 식자재 업체를 선별하여 학교에 납품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중요해졌다. 대전시는 2019년 11월 5일 교육청과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운영 업무협약서를 체결하고, 2021년부터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급식 중 주재료인 곡류를 시범사업으로 학교 급식 공동구매 사업을 시작하였다. 현재는 주요 급식 재료인 곡류, 육류, 가금류까지 확대 운영하고 있다. 해마다 현장평가와 변별력 제고를 위해 평가서를 재설계하고, 그동안 문제 되었던 유령업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발표평가 등을 도입함으로써 양질의 공급업체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2021년 21개교(곡류)만 참여했던 사업이 2022년 74개교, 2023년 206개교, 2024년 327개교가 참여 하였고, 올해는 402개교로 높은 호응을 얻으면서 꾸준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우수한 식재료 공급업체를 선정하여 품목별로 품질기준을 엄격하게 관리하였기 때문이다. 쌀·찹쌀·현미찹쌀 등 곡류의 경우에는 무농약 이상, 쇠고기는 한우 2등급 이상의 품질을 보증했고, 돼지·닭·오리는 무항생제 1등급 이상의 품질을 유지·관리하였기 때문이다. 아울러 식재료 공급업체에 대해 강도 높은 안전성 검사와 위생 점검도 학교와 학부모에게 신뢰를 얻는 데 한몫했다. 학교 급식 다소비 식품인 김치류, 곡류, 육류, 수산물 및 GMO(유전자변형 농수산물) 관련한 안전성 검사를 매월 시행하고, 유령업체와 제조연월일을 허위 표시, 품질기준 위반 등 중요한 불법 행위를 저지른 15개 공급업체를 적발하여 영업정지 처분과 함께 공동구매 공급업체 선정에서도 제외 시켰다. 앞으로도 학교급식에 대해 친환경·우수 식재료 급식 개선(쌀100%,농산물 50%)과 우수한 학교 급식 식재료 공급업체가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 및 참여 학교와 학생수에 맞는 적정한 공동구매 공급업체 수의 선정기준을 마련하여 양질의 식재료가 학교 급식에 우선 납품될 수 있도록 공동구매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학생들은 미래 주역이다. 부실한 급식 재료가 학교 급식에 더 이상 발붙이지 못하도록 환경을 정비하는 것이 최고의 학생 복지이다. 학생 복지의 출발은 양질의 식재료가 안정적으로 공급되어 최상의 급식이 유지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학교 급식 공동구매 사업이다. 균형잡힌 식단과 질 좋은 식재료로 학창 시절에 맛있게 먹은 급식이 좋은 추억으로 남길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