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동구와 충북 증평군은 0건으로 최하위지만, 충남 천안의 경우 2500건에 달할 정도로 지자체 간 격차가 크다.
재정 여건에 따른 이유도 있지만, 사회재난이 끊이지 않는 현실을 감안해 지급액 상향과 보장항목을 확대해 시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 |
제공=박정현 의원실 |
![]() |
제공=박정현 의원실 |
2024년에 대전 동구는 1억원을 들여 보험에 가입했지만, 지급 건수는 0건이다. 2200만원을 들인 충북 증평군과 800만원을 쓴 경북 울릉군도 1건도 지급하지 않았다. 충남 서천군과 청양군, 충북 옥천군도 지급 건수는 2건에 불과했다.
경남 창원특례시의 경우 전국 지자체 중 다섯 번째로 많은 6억2000만원을 들여 시민안전보험을 가입·운영했지만, 보험금 지급액은 4200만원으로, 지급률이 7%에 그쳤다.
반면 충남 천안시는 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410건(13억원 상당)을, 16억원을 쓴 경기 수원시는 3143건(17억원 상당)을 지급했다.
![]() |
제공=박정현 의원실 |
박정현 의원은 "시민안전보험은 재난·사고로부터 시민들의 피해를 보상하는 최소한의 정책"이라며 "국민 혈세가 투입된 시민안전보험 운영에서 지급 건수와 지급액이 크게 저조한 지역은 문제가 있다. 연이어 발생하는 재난·사고를 고려해 시민이 보험을 청구할 수 있도록 보장항목을 확대·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