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영 삼덕항 '당포항'명칭 복귀를 위한 첫걸음<제공=통영시> |
통영시는 2월 26일 산양읍주민센터에서 삼덕항 명칭 변경과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그간 추진된 경과 보고, 주제 발표('왜 당포인가?'), 전문가 토론으로 진행됐다.
주민 의견 조회 결과, 참석한 주민 전원이 '당포항'으로 변경하는 데 동의했다.
삼덕항은 본래 '당포항'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그러나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포마을은 삼덕1구, 원항마을은 삼덕2구로 변경됐고, 궁항마을과 함께 삼덕리로 통합됐다.
이후 1991년 국가어항으로 승격되면서 자연스럽게 '삼덕항'이라는 명칭이 사용됐다.
'당포'는 '큰 포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해안 방어를 위한 수군만호가 설치된 군사 요충지였다.
1374년(고려 공민왕 23년) 최영 장군이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주민들과 함께 축성한 당포성이 위치하며,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왜군 선박 21척을 격침시킨 당포대첩이 벌어진 곳이다.
또한, 한산대첩의 출정지로 알려진 역사적 의미가 깊은 지역이다.
그동안 삼덕항의 명칭 변경과 관련해 통영시의회 5분 자유발언("당포항은 왜 삼덕항인가?")과 주민들의 건의가 이어져 왔다.
이에 따라 시는 공식적으로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주민설명회를 통해 명칭 변경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관계기관 의견을 종합해 해양수산부에 최종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를 통해 통영시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회복하고, 당포의 역사적 의미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영=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