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간담회는 대전 7개 지역 국회의원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가운데 박용갑 의원 등 5명이 참석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대전상의가 국회의원들에게 전달한 기업 애로 사항 및 건의사항이다. '주 52시간 근로제' 유연화와 기업 승계 상속세 부담 완화·예방 중심의 중대재해처벌법 개정·SOC 투자 확대를 통한 지역업체 일감 제공·기업 전기료 부담 완화를 위한 '에너지 3법' 국회 통과 등이다.
'주 52시간 근로제' 유연화 등 대전상의가 건의한 내용 상당수는 정치권에서 논란을 빚고 있는 경제 현안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주 52시간 근로제' 유연화에 동조하는 듯했으나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여야 의견 대립으로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조항을 담은 반도체 특별법은 결국 무산됐다. 기업 승계 상속세 세율이 50%에 달하는 등 OECD 최고 수준으로, 부담 완화를 요구하는 경제계 목소리가 높지만 정치권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무차별적 통상 압박에 중국이 반도체 기술을 추월하는 등 한국경제는 '사면초가'의 형국이다. 한국경제인협회 류진 회장은 "성장 엔진을 살릴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한국경제는 갈림길이 아니라 벼랑 끝에 서 있다"고 말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 다수당인 민주당은 집권 여당 못지않은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국회의원들이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지역 경제계의 목소리를 의정 활동에 제대로 반영해야 간담회 의미를 살릴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