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 유성구 산불 현장. 산림청 제공 |
25일 기상청에 따르면 대전과 세종, 충남 천안, 충북(보은군, 괴산군, 옥천군, 충주시, 제천시, 진천군, 음성군, 단양군, 증평군, 청주시, 영동군)지역에 건조주의보가 발효 중이다. 건조주의보는 실효습도가 35% 이하인 상태가 2일 이상 이어질 때 내린다.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이 맞물리면서 작은 불씨가 큰 불로 번질 수 있어 대형화재에 대한 우려도 커진다.
대전에서는 25일 오후 2시 16분경 유성구 야산에서 불이나 24분 만에 진화했다. 산림 당국은 진화 차량 24대, 인력 8명을 신속 투입해 오후 2시 40분경 산불을 잡았다. 당국은 산불조사감식반을 통해 산불 발생 원인 및 정확한 피해면적과 재산피해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 |
기상청 특보발효 현황. 기상청 제공 |
충북에서는 1월 1일 충주시 산척면 송강리 일대 야산에서 불이 나 1시간 10분 만에 진화됐으며, 전날인 2024년 12월 31일 충남 태안군 남면 원청리 야산에서도 산불이 발생해 37분 만에 불길을 잡았다.
![]() |
산불경보 4단계. 산림청 제공 |
산림청은 23일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내렸던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 발령하고 대전, 세종, 충남, 충북지역을 포함해 지역을 확대했다. 앞서 1월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봄철 산불조심 기간을 조기 시행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최근 산불 발생이 증가하는 가운데 강풍으로 인한 산불 확산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관련 기관에서는 예방활동을 더욱 철저히 하고, 산불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