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5년 세종시 지역 국회의원과의 시정간담회에 참석한 주요 내빈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세종시 |
세종시 주최로 25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25년 지역 국회의원과의 시정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올해는 세종시의 위기이자 기회의 해’라며 행정수도 개헌과 대통령실·국회 이전을 통한 행정수도 완성에 힘을 모으자고 다짐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인사말에서 “올해가 대한민국 역사의 한 획을 긋는 해가 될 것”이라며 “세종시는 행정수도 개헌, 국회의사당과 대통령실 이전에 따른 새로운 진로가 열리는 해가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 세종시’ 명문화를 담은 개헌을 강조했다.
최 시장은 “헌법에 대통령실과 국회가 있는 곳이 수도라고 돼 있다. 국회는 오는 거로 확정돼 걱정하지 않지만, 문제는 대통령실”이라며 “대통령실만 세종시로 오면 헌법상 수도가 되고 실질적인 행정수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이 오지 않으면 개헌한다고 해서 수도가 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대통령실과 국회의 세종시 이전이 확정되면 (개헌을 통해) 법적 지위로 정리해줘야 한다는 논리를 갖춰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또 시(市) 설치를 위한 최소한의 규정만 갖춘 현행 세종시법은 행정수도로서의 기능과 자족기능 강화를 위해 전부개정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무소속 김종민 의원(세종갑)은 조기 대선을 가정해 대통령실 세종 이전이 여야 후보의 공약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가공실, 지역경제 특히 일자리 문제, 인프라 등 세종시의 수많은 난제. 가뭄 때 한 바가지의 물로 메마른 논을 적실 수 없듯이 큰 강줄기를 세종시에 연결해야 해결할 수 있다”며 “행정수도 완성이 세종시 전체 문제의 해법”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차기 정부가 들어서면 대통령 집무를 세종에서 다시 시작하자는 것을 여야 모든 후보와 합의했으면 한다”며 “행정수도 개헌에 따른 대통령실과 국회 이전은 세종시의 수많은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세종을)은 “세종시는 세종시민만을 위한 세종시가 아니다. 국가적 과제”라며 “국회세종의사당과 대통령실 완전 이전은 지역 의제를 아닌 국가적 과제로, 올해 세종시가 잘 대응하면 세종시 미래발전의 큰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했다.
![]() |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국회의원(세종시을),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세종시갑). 사진제공=세종시 |
세종시는 세종지방법원과 세종지방검찰청 설치, 가칭 국립한국문화단지 조성, 충청권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사업 유치 등을 위한 국비 확보 협조를 요청했다.
또 행정수도 완성 개헌과 세종시법 전부 개정, 세종 국가산업단지 관련 ‘농업농촌공익직불법’ 개정 등 법령 관련 사항도 국회의원들에게 건의했다.
세종사랑운동 추진과 세종 데이터 규제 프리존 조성,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추진, 대전∼당진 고속도로 첫마을IC 신설 등 주요 현안사업도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대전시나 충남도 등 타 시·도와 달리 세종시의회 임채성 의장과 김동빈 부의장, 김충식·김현옥·이현정 의원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김하균 행정부시장과 이승원 경제부시장, 이용일 기획조정실장, 김현기 경제산업국장, 김려수 문화체육관광국장, 천흥빈 교통국장, 김대곤 정책수석, 한승희 정책보좌관 등도 참석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