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진 "챗GPT 등 대형언어모델, 사이버 공격 악용 가능… 보안 장치 필요"

  • 경제/과학
  • 대덕특구

KAIST 연구진 "챗GPT 등 대형언어모델, 사이버 공격 악용 가능… 보안 장치 필요"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승원·김재철AI대학원 이기민 교수 연구팀
LLM 활용 개인정보 수집·피싱 공격 실험 수행해 가능성 규명

  • 승인 2025-02-24 17:52
  • 신문게재 2025-02-25 6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224153323
공동연구팀. 위쪽 가운데 사진부터 시계방향으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 나승호, KAIST 김재철AI대학원 이기민 교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송민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승원 교수,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박사과정 김한나. KAIST 제공
인공지능(AI) 기술이 기존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챗봇 수준을 넘어 자율성과 능동성을 겸비한 LLM 에이전트로까지 발전한 가운데 악용 시엔 개인정보 수집과 피싱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규명됐다. KAIST 연구진은 AI 기반 자동화 공격의 심각성을 우려하며 보안 장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신승원 교수와 김재철 AI대학원 이기민 교수 공동연구팀이 실제 환경에서 LLM과 LLM 에이전트가 사이버 공격에 악용될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오픈AI나 구글AI 등 상용 LLM 서비스는 LLM이 사이버공격에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방어 기법을 자체적으로 탑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우회해 악의적인 사이버공격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란 게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시간과 비용도 평균 5~20초 이내 30~60원(2~4센트) 수준으로 개인정보 탈취 등이 자동으로 가능해 새로운 위협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LLM 에이전트는 목표 대상의 개인정보를 최대 95.9% 정확도로 수집할 수 있다. 저명한 교수를 사칭한 허위 게시글 생성 실험에선 최대 93.9%까지 게시글이 진짜로 인식됐다.



LLM 에이전트는 피해자의 이메일 주소만을 이용해 피해자에게 최적화된 정교한 피싱 이메일을 생성하기도 했다. 실험 참가자들이 이러한 피싱 이메일 내 링크를 클릭할 확률은 46.67%까지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가 AI 기반 자동화 공격 심각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제1저자인 김한나 연구원(박사과정)은 "LLM에게 주어지는 능력이 많아질수록 사이버 공격의 위험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LLM 에이전트의 능력을 고려한 확장 가능한 보안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승원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정보 보안과 AI정책 개선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연구팀은 LLM 서비스 제공업체, 연구기관과 협력해 보안 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권 추가모집 인원 감소… 대전 등 최종 미충원 줄어들까
  2. 대전 유성구, 지역경제 살리기 총력… 골목상권 활성화 적극
  3. 대전 줄지 않는 학교폭력 심의… 예방교육보다 사후조치 '몰두'
  4. [건강]젊은층 방심하기 쉬운 유방암, 자가검진 습관 들여야
  5. [홍석환의 3분 경영] 제대 군인 대상의 재능 강의
  1. 국회 출석 사과 이틀 만에 축배? 학부모 단체 설 교육감 비판
  2. 대전 '초등생 사망사건' 지역사회 트라우마 확산... 아동부터 성인까지 다양
  3. [한성일이 만난 사람]신각수 전 주미대사
  4. '하늘이법' 의료·교육계 우려 목소리 나와…"교사의 질병 초첨 아니야"
  5. '국회·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대세론 굳힌다

헤드라인 뉴스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움직임 본격화… 대청호 규제 완화 기대감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움직임 본격화… 대청호 규제 완화 기대감

12·3 계엄 사태와 탄핵 등 정국 혼란으로 멈춰있던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이목이 쏠린다. 특히, 특별법 시행 당시 미반영 됐던 상수원보호구역 특례 신설도 재추진되자 각종 규제에 발목 잡혀 왔던 대전 동구와 대덕구 등 대청호 인근 지역 발전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24일 충북도에 따르면 오는 6월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중부내륙특별법)' 개정에 나선다. 현재 개정안 막바지 작업에 들어갔으며, 더불어민주당 이연희(청주 흥덕) 의원을 통해 발의할 계획이다. 앞서 충북도는 지난해인 202..

국가 위해 헌신·희생자 기리는 국립호국원 왜 충남엔 없나
국가 위해 헌신·희생자 기리는 국립호국원 왜 충남엔 없나

국가를 위해 헌신하거나 희생한 이들을 기리고 예우하는 공간인 국립호국원을 충남도에 설립하기 위한 해법을 마련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27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는 ‘충남권 국립호국원 조성을 위한 국회 토론회’로, 민주당 충남 국회의원인 문진석(천안갑)·이재관(천안을)·이정문(천안병)·복기왕(아산갑)·강훈식(아산을)·어기구(당진)·박수현(공주·부여·청양)·황명선(논산·계롱·금산)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충남도가 후원한다. 충남도 내 국립호국원 안장대상자는 최대 1만8750명으로 추산되나, 현재 도내 호국원이 없어 인근 충북..

`국회·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세론 굳힌다
'국회·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세론 굳힌다

'국회와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워싱턴 D.C. 내셔널몰과 같은 위상의 국가상징구역 조성' '국가상징구역을 국민주권구역으로 승화', '지자체를 지방정부로 명칭 변경, 5대 초광역권 육성'. 대통령 탄핵 국면과 조기 대선 흐름을 맞아 정치권 인사들의 '행정수도' 비전 발언이 연이어 쏟아지고 있다. 2004년 이후 21년째 반쪽짜리로 남겨진 행정수도론이 대세론으로 자리매김할 지 주목된다. 송재호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위원장(전 국회의원)은 2025년 2월 21일 다정동 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시당 초청 '토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