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도청 전경<제공=경남도> |
지난해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경남공감'은 매월 4만2000부가 발행되며, 이 중 1만8000부(43%)는 관공서에 배부되고, 9400부(22.3%)는 우편으로 발송된다.
반면, 개인 구독자는 4300명(10.2%)으로 도민 330만 명 대비 1.3% 수준에 불과하다.
지난해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낮은 개인 구독률과 배부 방식 비효율성이 주요 문제로 지적됐다.
특히, 도의원들은 "행정기관 위주의 배포가 많아 실제 도민들에게 읽히는 비율이 낮다"고 비판했다.
또한, 정확한 독자층 분석 없이 대량 배포하는 방식이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에 경남도는 온라인 뉴스레터를 보완책으로 운영 중이지만, 홍보 부족으로 실효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인쇄물 중심 운영의 필요성 재검토가 요구된다.
도의회는 '경남공감' 운영 방식 개선을 주문하며, ▲구독자 확대 방안 마련 ▲배부 방식 재정비 ▲온라인 콘텐츠 강화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도 관계자는 "도민들이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구독 방식을 다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인쇄 부수 조정 및 온라인 전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도의회와 집행부가 구독률 개선을 위한 실질적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