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여행] 63- 식도락가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조치원 찹쌀호떡

  • 문화
  • 맛있는 여행

[맛있는 여행] 63- 식도락가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조치원 찹쌀호떡

김영복 식생활문화연구가

  • 승인 2025-02-24 16:59
  • 신문게재 2025-02-25 10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KakaoTalk_20250224_085559036
세종 조치원 전통 시장. (사진= 김영복 연구가)
세종에는 전통·전의·부강·금남 대평 총 4개의 전통재래시장이 있다.그 중에서 아직도 5일장이 서는 조치원 전통시장은 1931년 개설돼 427개 점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종시 출범 이후 2013년 4월에 조치원시장, 우리시장, 재래시장 등이 통합됐다.

이 조치원전통시장에 다양한 먹을거리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호떡집에 불난다.'라는 속담을 방불케하는 40여년 전통의 유명한 호떡집이 있다.

찹쌀호떡을 먹기 위해 조치원재래시장 호떡집 앞에는 손님들이 줄을 선다.

그렇다면 호떡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중국에서는 '호떡'을 '후삥'이라고 부르는데, 의 원래 이름은 불로 태운다고 하여 '화소'(火燒) 또는 마른떡이라는 '고병'(枯餠)이라고 했지만, '오랑캐의 떡'이라고 해서 '오랑캐 호胡'자를 써서 '호떡'이라고 불렸다.

호떡의 '호(胡)'는 오랑캐를 뜻한다. 중국인들은 서역(西域), 지금의 중앙아시아와 아랍 사람을 일컬어 호인(胡人)이라고 불렀다. 이름에서 쌀보다 밀이 더 많이 생산되는 보듯 호떡은 오랑캐인 호인들이 만들어 먹던 떡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흉노족, 선비족, 돌궐족 등 오랑캐들은 쌀농사 보다 밀가루 농사를 더 많이 하기 때문에 쌀 대신 밀가루를 반죽해 화덕에 굽거나 기름에 튀겨 먹는다고 한다. 기원전 2세기 무렵 한나라 때 흉노족의 왕자가 처음으로 한나라에 호떡을 전했다.

조 송(宋) 나라 범엽(范曄)이 지은 후한의 역사서『후한서(後漢書)』 [오행지(五行志)]에는 서역의 풍속에 빠져 지낸 영제 이야기가 나온다. 그는 서역(西域)의 옷을 입고 호떡을 먹었으며 서역의 음악과 춤에 심취했는데, 황실의 친척과 장안의 귀족들이 모두 그 모습을 따랐다고 한다.

중국에는 호떡(胡餠)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일품 호떡[一品燒餠]은 중국의 지역별 간식 중 화북지역의 간식이다. 베이징(北京)과 천진(天津), 산서(山西), 산동(山東), 하북(河北), 내몽골을 포함하는 화북지역의 간식은 소맥가루와 메밀가루 등 분식이 많고 다양한 식재를 사용하며 모양은 심플하나 맛이 진하면서도 순하다.

청(淸)나라 건륭(乾隆)제때 개발된 일품 호떡은 건륭제의 왼팔 오른팔이었던 최대의 탐관 화신(和)와 연관된다. 1774년 건륭제가 동릉(東陵)에 갔다가 귀경하던 도중 오늘날의 하북성 계현(縣)에 위치한 행궁에 이르렀다.

계현(縣)을 21회째 방문한 건륭제는 반산(盤山)을 돌아보고 수라간의 음식을 마주했으나 산해진미에 질려 입맛을 잃었다. 그 때 24살난 화신은 건륭제의 3등 시종신이었다.

KakaoTalk_20250224_085614903
찹쌀 호떡. (사진= 김영복 연구가)
화신은 나이는 어렸지만 자신의 학식과 영리함으로 건륭제의 신임을 한 몸에 받았다. 건륭제가 계현의 간식을 좋아했다는 것을 물어서 안 화신은 온갖 방법으로 특색 간식을 찾아서 직접 황제에게 올렸다.

동글납작하고 겉에 깨가 가득한 호떡을 맛 본 건륭제는 얼굴에 화색을 드러내며 "맛이 과연 일품이로다!"라고 칭찬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로부터 일품소병(一品燒餠)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바삭하고 달콤한 이 호떡은 그로부터 건륭제 수라간의 대표 간식으로 부상했고 화신은 더욱 건륭제의 신뢰를 받았다. 황궁에 입궁한 일품 호떡은 궁중의 음식으로 된 동시에 최고의 호떡 대표, 베이징의 대표 간식으로 부상해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일품 호떡 즉 일품소병(一品燒餠)은 동글납작하고 노오란 호떡이 기름기가 흘러, 보기만 해도 군침이 흐르고 맛을 보면 겉이 바삭하고 소가 달콤해 별미이다.'

호떡은 기원전 2세기 한나라 때부터 당나라를 거쳐 12~13세기 송나라 때까지 거의 1500년이 넘도록 중국에 거세게 불었던 바람, 호풍(胡風)의 상징이다. 이러한 호풍은 실크로드( 팔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들은 점차 우리나라 사람들 입맛에 맞게 조리법을 변형해서, 호떡안에 조청이나 꿀, 흑설탕 등을 넣어 팔았다. 인천 제물포에서 처음 만들어 팔기 시작한 한국식 호떡은 화교들이 모인 서울 명동 중국 대사관 주변이나 종로 거리 등으로 차츰 퍼졌다.Silk Road)와 관련이 깊다.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의 비단과 도자기가 서역으로 전해졌을 뿐만 아니라 인도와 중앙아시아, 아랍의 향신료와 식품, 그리고 기술과 문화가 동서양으로 퍼졌다.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오기까지 먼 길을 걸어온 호떡. 우리나라에 처음 전해진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조선 중기 문신이자 시인인 고산(孤山)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고산유고(孤山遺稿)』에 남조 송나라 때 유의경(劉義慶)의『세설신어(世說新語)』 아량(雅量)를 인용하여 호떡[胡餠]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

이『세설신어(世說新語)』에 대한 호떡에 대한 이야기는 『고산유고(孤山遺稿)』말고도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열하일기(熱河日記)』 성경잡지(盛京雜識)에 '호떡'을 '불불'이라고 썼고, 택당(澤堂) 이식(李植,1584~1647)의『택당집(澤堂集)』에도 '호떡[胡餠]'인용되고 있다.

조선 후기 숙종의 어의를 지낸 의관(醫官) 이시필(李時弼, 1657-1724)이 여러 정보를 모아 1720년(숙종 46)~1722년(경종 2)경에 편찬한『소문사설(聞事說)』에는 이 '호병(胡餠)'을 '조악전(造堊煎)'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 당시 조선에서 호떡을 만들어 먹지는 않은 것 같고, 조선 순조 때 재야학자 조재삼(趙在三 1808~1866)이 쓴 『송남잡지(松南雜識)』에 비로소 호떡[胡餠]이 등장한다.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체불된 임금을 정부가 저급 불량쌀로 지급하여 일어난 임오군란(壬午軍亂) 당시 청병(淸兵)들과 함께 들어온 청나라 상인들이 자국이 폐하고 나서도 본토로 돌아가지 않고 생계를 위해 식당을 열고 음식을 팔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호떡이라고 한다.

KakaoTalk_20250224_085623034
호떡. (사진= 김영복 연구가)
그렇지만 1882년 임오군란 때 호떡이 들어 왔다고 하는 설은 맞지 않는 이야기가 된다.

임오군란 이전에 호떡은 이미 조선에 들어 와 있었으나 임오군란(壬午軍亂) 때 청나라가 조선에 육군 3,000여 명을 파견하면서 자국인의 상권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십 명의 청나라 상인들도 같이 들어왔고, 이후 청나라가 망한 뒤에도 본토로 돌아가지 않고 남은 상인들이 생계를 위해 음식점을 열고 만두와 호떡 같은 음식을 팔았다고 한다.

1889년(고종 26) 서울에 광동성 출신 화교가 경영하는 호떡집인 푸싱빵집[福星麵包房]이 영업하고 있었으며, 1906년(광무 10)에는 17개였으며, 1923년에는 203개로 증가하였고, 호떡이 대중화 되면서 『동아일보(東亞日報)』와 『조선일보(朝鮮日報)』는 1920년대 호떡과 호떡집을 주제로 한 수필과 단편 소설을 연재하기도 하였다.

인천 제물포에서 만들어 팔기 시작한 한국식 호떡은 화교들이 모인 서울 명동 중국 대사관 주변이나 종로 거리 등으로 차츰 퍼졌다.

우리나라에 호떡이 더욱 널리 퍼지면서 크게 유행한 것은 1920년대다.

1920년대에는 한국 전역에 대략 400여 가구의 호떡집이 있었으며, 2009년에는 명동거리에 위치한 취천루(聚泉樓) 한 곳만 남아 있다고 한다.

호병가(胡餠家), 또는 호병상(胡餠商)은 1920년대 '호떡집'의 한자 표기이다.

1926년 5월15일 동아일보자 기사를 보면 개성에 대화재가 나 '중국인 왕보성(王保盛)의 호떡 가가 등 10동이 불에 소진되었다'고 나온다.

그후 1927년 봄부터 매일 1000명이 넘는 중국인 노동자(쿨리)가 인천에 상륙했다. 쿨리는 '집단 채무 노예' 또는 사실상의 노예로서 '아무 일에나 투입되는 중국인 또는 인도인 노동자'를 지칭하는 데, 이 말은 힌두어의 'Kuli'(날품팔이)에서 유래했다.쿨리들이 한국에 대거 유입되자 당시 한국에 정착해 있던 화교들이 이들을 상대로 값싸고 만들기 간편한 음식을 개발했는데, 이 음식이 '호떡'이라고 불렸다.

당시 조선을 지배하고 있던 일본인들은 '지나빵'(支那パン)이라 불렀다.

지금도 영문 이름은 'Chinese Pancake'다. 쿨리가 많은 곳에는 어디에나 호떡집이 있었고, 호떡집에 쿨리들이 북적거린다는 뜻으로 '호떡집에 불났다'는 속어도 생겨났다

호떡집은 중화요리점과 함께 당시 한국 화교들의 주요 생계수단이었다. 호병가(胡餠家), 또는 호병상(胡餠商)을 한국에서는 '호떡집'이라고 불렀는데, 1931년 6월 2일자 동아일보 기사에서 "쌀가루와 호떡 고물이 간간히 떨어저잇섯다"라는 내용으로 보아 '호떡집'에서 파는 전통중국과자나 병(餠) 종류를 통틀어 '호떡'이라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자고간 자리에는 풀을 뜨더펼처노흔 것은 물론이오 신문지 조각이 수백장씩 흐터저잇고 쌀가루와 호떡 고물이 간간히 떨어저잇섯다고한다"

KakaoTalk_20250224_085634242
화덕 호떡. (사진= 김영복 연구가)
화교 호병상(胡餠商)은 1950년대와 1960년대까지 성업을 이어갔으며, 1963년에는 약 500여 개의 호병상(胡餠商)이 서울, 인천, 군산, 부산, 대구, 목포 등의 대도시에서 영업하였다. 1970년대 들어 호빵이 등장하여 크게 유행하면서 호떡의 인기는 시들해졌고, 호병상(胡餠商)들은 화덕을 사용해 조리하는 관계로 당국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자 영업이 곤란해 문을 닫는 곳이 많아졌다. 화교 호병상(胡餠商)들은 1970년대 들어 급감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그리고 한국전쟁 때부터 호떡 안에 여러 종류의 곡물씨앗을 넣어 먹기 시작했다. 그것이 유래가 되어 1980년대 후반 남포동에서 각종 견과류를 넣어 판매하면서 씨앗호떡이 탄생되었다.

요즘 호떡의 변신은 무죄라고 다양한 호떡들이 식도락가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김영복 식생활문화연구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권 추가모집 인원 감소… 대전 등 최종 미충원 줄어들까
  2. 대전 줄지 않는 학교폭력 심의… 예방교육보다 사후조치 '몰두'
  3. 대전 유성구, 지역경제 살리기 총력… 골목상권 활성화 적극
  4. [건강]젊은층 방심하기 쉬운 유방암, 자가검진 습관 들여야
  5. [홍석환의 3분 경영] 제대 군인 대상의 재능 강의
  1. 국회 출석 사과 이틀 만에 축배? 학부모 단체 설 교육감 비판
  2. 대전 '초등생 사망사건' 지역사회 트라우마 확산... 아동부터 성인까지 다양
  3. [한성일이 만난 사람]신각수 전 주미대사
  4. '하늘이법' 의료·교육계 우려 목소리 나와…"교사의 질병 초첨 아니야"
  5. 헌재 탄핵심판 68일째 대전서 맞붙은 찬반 '말말말'

헤드라인 뉴스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움직임 본격화… 대청호 규제 완화 기대감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움직임 본격화… 대청호 규제 완화 기대감

12·3 계엄 사태와 탄핵 등 정국 혼란으로 멈춰있던 중부내륙특별법 개정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이목이 쏠린다. 특히, 특별법 시행 당시 미반영 됐던 상수원보호구역 특례 신설도 재추진되자 각종 규제에 발목 잡혀 왔던 대전 동구와 대덕구 등 대청호 인근 지역 발전 모멘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24일 충북도에 따르면 오는 6월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중부내륙특별법)' 개정에 나선다. 현재 개정안 막바지 작업에 들어갔으며, 더불어민주당 이연희(청주 흥덕) 의원을 통해 발의할 계획이다. 앞서 충북도는 지난해인 202..

국가 위해 헌신·희생자 기리는 국립호국원 왜 충남엔 없나
국가 위해 헌신·희생자 기리는 국립호국원 왜 충남엔 없나

국가를 위해 헌신하거나 희생한 이들을 기리고 예우하는 공간인 국립호국원을 충남도에 설립하기 위한 해법을 마련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27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는 ‘충남권 국립호국원 조성을 위한 국회 토론회’로, 민주당 충남 국회의원인 문진석(천안갑)·이재관(천안을)·이정문(천안병)·복기왕(아산갑)·강훈식(아산을)·어기구(당진)·박수현(공주·부여·청양)·황명선(논산·계롱·금산)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충남도가 후원한다. 충남도 내 국립호국원 안장대상자는 최대 1만8750명으로 추산되나, 현재 도내 호국원이 없어 인근 충북..

`국회·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세론 굳힌다
'국회·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세론 굳힌다

'국회와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워싱턴 D.C. 내셔널몰과 같은 위상의 국가상징구역 조성' '국가상징구역을 국민주권구역으로 승화', '지자체를 지방정부로 명칭 변경, 5대 초광역권 육성'. 대통령 탄핵 국면과 조기 대선 흐름을 맞아 정치권 인사들의 '행정수도' 비전 발언이 연이어 쏟아지고 있다. 2004년 이후 21년째 반쪽짜리로 남겨진 행정수도론이 대세론으로 자리매김할 지 주목된다. 송재호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위원장(전 국회의원)은 2025년 2월 21일 다정동 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진행된 더불어민주당 시당 초청 '토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팬들이 기다리던 꿈의 구장…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커밍쑨’

  •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유물을 지켜라’…한국족보박물관 소방훈련

  • ‘봄이 오고 있어요’ ‘봄이 오고 있어요’

  •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 ‘해빙기, 위험시설물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