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태 교수 |
강압적 계엄 조치와 더불어 탄핵심판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분열은 '우리'라는 공동체 안에서 내가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훼손시켰다. 내 자신이 불안정한 사회 질서의 일부로 인식되면서 소속감이 약화되었다. 탄핵심판을 두고 나타난 정치적 분열과 갈등은 시민들 사이의 공감과 신뢰를 훼손하고 공동체의 정서적 유대감을 약화시켰다.
공동체성은 공통의 생활공간에서 상호작용하며 유대감을 공유하는 집단을 말한다. 하나의 공동체는 일반적으로 집단 내 상호작용을 통한 소속감, 집단 내 상호 영향력, 집단을 통한 필요의 충족, 공유된 정서적 연결 등을 통해 공통된 문화를 공유하게 된다.
공동체성은 한 국가의 흥망성쇠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번 계엄사태와 탄핵심판의 과정에서 나타난 정치적 사회적 분열과 갈등은 우리의 공동체성 붕괴의 위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만약 우리가 국가의 공동체성을 제대로 회복하지 못 한다면 우리는 쇄락의 길을 갈 것이 뻔하다.
나 같이 위아래로 '낀 세대'인, X세대라고 불렸던 90년대 초반에 대학교를 다녔던 사람들은 공동체성이 여전히 강하다. 우리 위로는 한국전쟁의 폐허 위에서 보릿고개를 겪으며 산업화의 전사로서 전투적인 삶을 살았던 베이비붐 세대가 있다. 아래로는 경이로운 경제 발전과 정보화시대로 대표되는 밀레니엄 세대가 있다. 그 뒤로는 태어났을 때 이미 휴대폰이나 인터넷이 존재해서 어릴 때 그걸 갖고 놀았고, 지금은 인공지능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MZ세대가 있다.
X세대인 나는 산업역군들인 부모 세대가 일구어 놓은 고도 경제성장의 열매를 처음 따먹은 세대로서 부모님에게 감사한 마음이 남아 있다. 학교에서는 스승님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는 유교적 가치관이 여전히 남아 있는 세대다. 50대인 지금은 연로한 부모님을 봉양해야 한다는 의무감이 당연한 세대이다. 내가 대학생 때 휴대폰과 삐삐가 나와서 개인주의가 탄생했지만, 내 세대는 여전히 공동체성이 뼛속 깊이 박혀 있어서 개인보다는 공동체를 먼저 생각하는 편이다.
그렇지만 밀레니엄 세대와 MZ 세대는 공동체보다는 개인의 자유가 중요한 세대이다. 이들은 풍요로운 세상을 사는 것이 당연하고, 인터넷과 스마트폰 없는 세상은 상상도 하지 못 한다. 학교에서는 수업만족도 조사를 통해 스승은 사라지고 교사나 교수를 평가하는 것이 당연한 시대를 살고 있다. 부모가 내게 사교육을 시켜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나중에 부모를 봉양한다는 생각은 극소수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이들은 불쌍하게도 극심한 청년실업을 겪으며 욜로를 추구하는 세대이다.
우리 사회에서 혈연과 가족으로 끈끈하게 결속됐던 공동체성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속한 사회적 다양성의 증가와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면서 약화했다. 사실 젊은 세대들의 공동체성이 부족한 것은 부모 세대의 책임이라고 봐야 한다. 게다가 이번 계엄사태와 최고위층의 무책임함이 불러일으킨 정치적 분열과 사회적 갈등은 공동체성의 붕괴를 초래하고 말았다.
우리의 공동체성을 살리는 한 가지 방법은 국민들의 마음에 공동체를 살리는 의로움의 가치를 제대로 세우는 것이다. 그 해법은 공동체를 해친 악인에게는 철퇴를 가하고 공동체를 살린 의인은 상을 주는 것이다. 우리 공동체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의인과 위험과 불이익을 감수한 의인을 발굴해서 파격적인 포상을 하여 모범을 삼을 것을 제안한다.
일제강점기 독립투사의 후손에게 파격적인 대우를 해서 독립운동을 하면 삼대가 흥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자. 또한, 상부의 불법한 명령을 거부하며 용기 있게 의로운 양심을 보여준 채 해병 사건의 수사단장이었던 박정훈 대령과 계엄회의에 참여하기를 거부하며 사표를 던진 류혁 전 법무부 감찰관과 같은 이들을 포상하고 중용한다면 우리 사회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김정태 배재대학교 글로벌자율융합학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