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대전교육청이 개최한 AIDT 학부모 설명회에서 학부모들이 AIDT를 직접 시연해보는 모습. /사진=오현민 기자 |
2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AIDT 주문 마감일인 21일 오후 3시 기준 대전 303개 학교 중 AIDT를 신청한 학교는 57곳이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20곳, 중학교 17곳, 고등학교 20곳이 신청했다.
대전교육청은 구성원 의견 수렴 등 학교 행정절차를 거칠 수 있는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추가 신청도 받을 방침이다. 학교별 계약 체결 절차가 남아있어 시간이 촉박하지만, 교육청은 미계약 상태인 학교가 먼저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학기 중 계약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AIDT 선정 때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해 서책형 검·인정 교과용 도서 선정 절차에 따라 추진한 후 17일부터 21일까지 오후 3시까지 학교별 선정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 주문하라고 안내했다.
교육부가 안내한 선정절차를 살펴보면, 학교관리자는 교과협의회를 통해 교원의 의견수렴을 한 후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에 선정심의 관련 안건을 상정한다. 교원, 학부모 등으로 구성된 학운위는 안건 심의 후 학교관리자에게 이송하고 선정교과서를 최종 확정 짓는다.
다만 이 과정에서 학부모, 학생들의 의견수렴 과정은 없었다. 대전교육청은 구성원 의견 수렴에 대해 학교별 안내한 부분이 없어 신학기부터 AIDT 활용에 나설 57개 학교 역시 따로 의결 과정을 거치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전교육청은 기존 서지형 교과서를 선정할 때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의견수렴은 하지 않기 때문에 따로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올해 첫 도입하는 AIDT를 놓고 학부모들이 거센 반대 입장을 표명해온 바 있어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시행 여부를 묻는 조사를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대전의 한 초등학교 학운위원장은 "기존 서지형 교과서 채택은 교과협의회를 거쳐 학운위 안건으로 상정됐지만 AIDT는 상정조차 되지 않았다"며 "디지털교과서를 어떻게 한다는 안내도 없고 추진하겠다는 얘기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올해는 AIDT를 활용하지 않겠다고 한 학교관리자는 "의무적 사용이 결정됐을 땐 학교 내부적으로 선정절차를 마무리 지었는데 자율선택하라고 안내된 이후 AIDT 도입을 유보하는 방향으로 바꿨다"며 "교육부가 의무적으로 한다고 했을 땐 전체 구성원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지만 교육자료로 바뀔 땐 선정을 바탕으로 한 설문 과정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구성원 의견수렴을 충분히 거치지 못한 이유는 시간상의 제약이 컸다"며 "여기서 추가로 논의될 부분은 의견수렴을 했을 때 몇 퍼센트가 찬성해야 쓰는 건지 기준점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