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월 셋째 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사진=한국부동산원 제공. |
2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2월 셋째 주(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값은 0.03% 하락했다. 1주 전(-0.04%)과 비교해 0.01%포인트 줄어들면서 하락폭이 축소했다.
전국적으로 하락세인 상황 속에서 서울은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은 0.06% 오르면서 지난주(0.02%)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보이는 가운데, 재건축 및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도희망가격 상승하고 상승거래 체결되는 등 전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앞서 12일 서울시는 서울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등 서울시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 291곳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했는데, 이후 '잠·삼·대·청'(잠실동·삼성동·대치동·청담동)이 속한 강남3구 아파트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충청권을 보면, 대전은 0.05% 하락했고, 충남과 충북은 각각 0.05%, 0.02% 내렸다. 세종의 경우 0.12% 하락하면서 전국에서 하락률이 가장 컸다. 세종은 지난주(0.12%)와 낙폭이 같았는데, 매물 적체 영향 등으로 새롬·보람·다정동 위주로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이를 두고 '똘똘한 한 채 현상' 등 서울로 투자가 몰리면서 충청권을 비롯한 지방 부동산 시장은 더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미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은 지방은 악성 미분양 등이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대전의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규제가 풀리면서 서울로 투자가 쏠리게 되면 지역에선 당연히 관심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서울에서 투자 바람이 거세게 불어 다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 뒤, 그 바람이 지역으로까지 불지는 또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