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충주지역 사회단체들이 충주시청 브리핑룸에서 한국교통대-충북대 통합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이들 단체는 "2023년 12월 양 대학이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 대학에 선정된 후 1년여 논의 끝에 교육부 통합신청서를 마무리했다"며 "이제 본격적인 통합심사위원회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단체들은 먼저 균형발전 차원에서 통합대학의 본부를 충주캠퍼스에 설치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글로컬 대학 사업의 본질적 목적은 지역소멸 방지를 위한 균형발전"이라며 "교육부의 통합형 국립대학 모형인 캠퍼스 총장제를 통한 지역 혁신 연계의 실질적 효과를 위해서는 제2도시에 대학 본부가 위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캠퍼스 특성화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1단계 학과통합에서 8개 학과를 대상으로 했지만 청주에서 충주로 이전하는 학과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2단계 과정에서는 충주캠퍼스 특성화에 맞는 청주캠퍼스 학과의 충주 이전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지역산업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지 않는 유사 중복학과가 양 캠퍼스에 그대로 있다면 규모가 작은 도시의 캠퍼스에 있는 학과는 급속히 쇠퇴하고 이것이 캠퍼스 공동화의 요인이 된다"고 우려했다.
이와 함께 양 대학의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 교육부의 균형 있는 중재자 역할, 충청북도의 적극적인 중재 노력과 동참도 촉구했다.
특히 충북대 내부의 대학 본부와 구성원 간 통합협상 내용에 대한 의견수렴이 지연된 것과 관련 "지난 3개월의 지연 원인은 구성원과 소통이 없는 충북대 본부의 일방적인 통합추진에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통합의 과정에서 논의되는 캠퍼스 특성화와 학과 재배치 및 신설 문제는 직접적으로 지역 산업과 연결되는 것"이라며 "충청북도는 적극적으로 대학의 통합논의에 동참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흡수통합은 지역소멸 위기를 앞당길 수 있어 반대한다"며 "캠퍼스 공동화를 촉진시켜 지역소멸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진행되는 통합심사위원회가 글로컬대학의 본래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통합성과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공동성명에는 충주시 사회단체연합회,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총동문회와 총학생회, 충주시 학부모연합회, 장애인부모회, 소상공인위원회, 충북대학생총연합회 등 7개 단체가 참여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