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도청 전경<제공=경남도> |
가장 큰 쟁점은 창원국립대와의 통합 과정에서 나타난 소통 부재였다.
의원들은 통합 과정에서 지역주민들과의 충분한 의견수렴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일수 의원은 '통합'이라는 용어가 갑자기 '전환'으로 바뀌는 등 일관성 없는 소통으로 주민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학생 관리에서도 심각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2023년 기준 재학생 중 휴학생이 174명, 퇴학생이 79명에 달했다.
특히 항공정비학과의 경우 정원 36명 중 30명이 휴학 중인 것으로 나타나 정상적인 학과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외국어 교육 인프라도 열악했다.
현재 상주 외국인 강사는 1명에 불과하며, 해외연수도 4주로 제한돼 있어 실질적인 역량강화가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상현 위원은 "외국어는 매일매일 노출돼야 하는데 현재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재구 총장은 "통합은 대학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자퇴생은 2017년 125명에서 현재 27명으로 감소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앞으로 주민소통을 강화하고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도의회는 대학 측에 통합 과정에서의 투명한 정보공개와 주민의견 수렴 강화를 요구했으며, 학과 운영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